노벨상 인재 키워라… 기초과학·소재산업 육성 전환점 기대

■ 삼성 창조경제 파격 지원… 미래기술육성재단 설립
최대 500개 프로젝트 10년간 투자
ICT 융합 창의적 기술 개발도 진행
연구 성과물은 철저히 연구원 소유


13일 삼성이 발표한 창조경제 육성계획은 미래기술을 위한 연구재원을 지원하면서 연구 성과물에 대해 모두 연구진이 소유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무엇보다 파격적이다. 대가를 바라지 않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우수 과학자들이 노벨 과학상을 받을 수 있을 만큼 크게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재계 1위의 삼성그룹이 1조5,000억원 규모의 자금 지원에 나선 만큼 다른 대기업들 역시 창조경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잇따라 내놓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1조5,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건 없이 기술 개발에 지원하기로 한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며 "이번 지원이 국내 기초과학 육성에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대 500개 프로젝트 지원=삼성이 지원하는 1조5,000억원 규모의 기술개발 자금 지원 신청 대상은 국내 대학 연구진과 국공립 연구소의 연구원, 대기업을 제외한 기업 연구원 등이다. 이들은 오는 7월까지 자유공모 형식으로 지원이 가능하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은 ▲4대 기초과학 분야에 100~200개의 과제 ▲소재 기술 육성에 50~100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형 창의 과제 지원에 100~200개 등 최대 500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 인원과 과제 수, 지원 금액 등은 응모 연구 과제에 따라 가변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연구 성과가 탁월한 경우에는 1단계(~2017년)에 이어 2단계(2018~2022년)로 연계해 최대 10년간 지속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 삼성 측 설명이다. 다만 프로젝트 지원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과제와 중복되는 내용일 경우 지원을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삼성 관계자는 "이번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이 지원하게 될 연구대상은 국가에서 지원하기 어려운 부문이거나 리스크가 지나치게 크고 혁신적인 분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벨 과학상 수상 토대 마련한다=삼성이 집중 지원하는 대표 분야는 미래 노벨과학상 수상자 육성을 위해 물리ㆍ화학ㆍ생명과학ㆍ수학 등 기초과학 분야다. 이를 통해 과학 기술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미래 노벨과학상 수상 여건 조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소재 기술 육성에서도 삼성은 기존의 틀을 뛰어 넘는 독창적 소재 기술의 발굴과 설계에서부터 가공까지 전 가치사슬의 연구 및 상용화를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새로운 구조 연구가 필요한 신 물질이나 과학적 규명이 부족해 상용화가 어려운 물질 등 국가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독창적 소재 연구가 우선적인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삼성 측 설명이다.

예를 들어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이론적 한계 용량을 뛰어넘는 새로운 물질 연구에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다면 1순위로 선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소재 기술 부문에서는 2단계(2018~2022년)에서 파일럿 라인을 통한 상용화까지 추가적인 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또 ICT 융합을 통한 창의적인 기술 지원도 진행된다. ICT를 활용한 교육과 교통ㆍ에너지 등에 관한 연구는 물론 라이프케어 연구, 빅 데이터 분석과 감성 연구 등 인문 사회과학과의 융합 연구도 대상에 포함된다.

◇성과물은 모두 연구자의 몫으로=삼성은 이번 기금 지원을 받아 연구원이 특허 출원 등의 성과가 있을 경우 모든 연구 성과에 대한 권한을 연구원에게 귀속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더욱이 성과가 좋아 연구원이 상업화를 원할 경우 삼성이 사업화도 지원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기금 지원에서부터 특허 출원 이후의 모든 권한이 연구원에게 귀속되는 만큼 삼성그룹이 기금 지원을 통해 얻는 직접적인 혜택은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연구원이 성과를 거둔 연구 결과물에 대해 특정 회사에 양도를 원할 경우 삼성이 우선 협상권만을 가지게 된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모든 지원이 국가적인 창조 경제 실현을 위한 것인 만큼 기금 지원을 통해 삼성그룹이 얻는 이익은 전혀 없을 것"이라며 "다만 삼성이 지원하고 국내 최고 연구진이 얻은 성과가 해외로 유출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연구성과물 양도시 삼성이 우선 협상권만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