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십자각/8월 21일] 현대차와 勞勞갈등

비교적 쉽게 끝날 것 같았던 현대자동차의 올 노사협상이 미궁으로 빠져들었다. 노사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해 협상이 지지부진하다면 ‘끝장 교섭’을 통해서라도 접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뜻하지 않은 ‘노노갈등’으로 다 된 것처럼 보이던 협상이 사실상 원점으로 되돌아간 형국이라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현대차 노조의 일부 강성 대의원들이 노사 교섭장 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교섭 자체를 사실상 ‘완력’으로 저지한 것은 표면적으로는 노사 간 잠정 합의 상태에 이른 ‘주간연속 2교대제’의 내용이 조합원 기대치에 훨씬 못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면을 들여다보면 노조 내에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현장 재조직들 간 ‘계파 이기주의’ 때문에 빚어졌다는 지적이 높다. 현대차 노조에는 모두 6개의 현장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현 노조 집행부는 ‘민주노동자투쟁위원회(민투위)’ 소속 활동가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이번 노사교섭을 물리력으로 저지한 일부 대의원들은 현 노조 집행부와 노선을 현저히 달리하는 ‘민주노동자회(민노회)’ 소속이 주류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회는 2년 전 노조 지부장을 지낸 박유기 전 노조위원장이 수장격이다. 박 전 위원장은 현대차 노조를 산별 금속노조로 전환시킨 장본인으로 올 노사협상이 산별중앙교섭 의제에 발이 묶여 고전을 겪게 한 단초를 제공했다. 최근 현대차 노조가 사측이 제시한 산별교섭안이 노조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음에도 사실상 한발 물러서 수용했다는 점이 민노회 소속 대의원들을 자극했을 수 있다. 특히 현대차 노조의 관행대로라면 올 초 실시한 지도부 선거에는 현 민투위 소속이 아닌 다른 계파에서 나와야 맞다. 민투위는 그러나 지난해 첫 무분규 타결을 이루는 등 ‘전향적 노사관계’ 설정을 기치로 다시금 노조원들의 신임을 얻어 연임에 성공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이번 사태는 노조원들에게 가장 민감한 ‘주간연속 2교대제’를 등에 업고 현 집행부를 흔들어보려는 모양새가 되고 있다. 일부 노조원들의 반발을 무릅쓰고 올 노사협상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하려는 현 노조 집행부의 행보는 큰 ‘용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다수 조합원들의 의사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까지도 충분히 감안한 결단이다. 현대차 노조가 이 같은 대의를 무시하고 계파 이기주의로 내몰린다면 현대차 노조는 더 이상 설 곳이 없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kkh1108@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