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으나마나한 석유 전자상거래

정부 "기름값 잡을 비장의 카드" 라더니…
15거래일간 27원 올라 주유소 상승폭의 두배
혼합판매 활성화하고 트레이더 참여 허용해야


정부가 치솟는 석유값을 잡기 위해 비장의 카드로 제시한 석유제품 전자상거래가 가격인하 효과를 전혀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석유제품 전자상거래가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려면 혼합판매를 활성화하고 트레이더의 시장참여를 허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일 석유전자상거래시장에서 휘발유는 전날과 같은 리터당 1,96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첫 거래가 이뤄졌던 2일 가격이 1,933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27원 오른 셈이다. 이달 2일부터 19일까지 시중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가격 상승폭(13.82원)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더 뛴 것이다. 경유 역시 주유소의 판매가격 상승폭보다 1원 이상 더 올랐다.

거래도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전자상거래가 실시된 후 15거래일 중 이틀은 단 한 건도 거래되지 않았고, 특히 휘발유 거래는 무려 9거래일 동안 거래량이 '제로(0)'였다. 거래건수 역시 하루 평균 3건을 넘지 못했다.

석유제품 전자상거래가 제 기능을 못하는 것은 정유사들이 매도물량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다 한 주유소에서 여러 정유사의 제품을 팔 수 있는 혼합판매가 사실상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주유소협회의 한 관계자는 "대형 정유사들이 자사 제품을 전자상거래시장에 내놓지 않아 주유소나 대리점들의 참여 유인이 없는 상황"이라며 "주유소 대부분이 정유사와 전량구매계약을 맺어 혼합거래를 할 수 없다는 점도 걸림돌"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석유제품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휘발유와 경유를 상표 표시 없이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문배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본적으로 혼합판매가 활성화돼야 주유소도 대형 정유사들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높아질 수 있어 시장 참여가 늘어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정유사들도 여유물량은 시장에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공급자와 실수요자의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 가격평가기관을 도입하고 일부 석유제품 트레이더들의 시장참여를 허용하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최근 정유사의 전량구매계약 강요행위를 위법행위로 규정하고 정유사의 불공정행위시 엄중 조치하는 등 혼합판매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