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과 벌이는 보드게임 한판?

영화 '모노폴리'
은행 5兆 인출시킨 해킹사건 공범 경호와 존의 기묘한 관계 묘사
마지막 반전 생각보다는 "글쎄"



영화 ‘모노폴리’는 실제 보드게임 ‘모노폴리’를 패러디한 오프닝 화면으로 시작한다. 마치 ‘우리 영화는 한판의 게임입니다’하는 듯하다. 실제로 이 영화는 마치 게임처럼 관객에게 도전을 하는 영화다. 마지막에 거대한 반전을 숨겨놓고 관객에게 이를 맞춰 보라고 제안한다. 영화는 천재 컴퓨터 해커 경호(양동근)가 저지른 금융범죄의 전모를 추적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전국은행 1억개의 개좌에서 5조원의 돈이 불법 인출되는 해킹사건이 발생한다. 국정원은 즉각 범인인 경호와 공범 앨리(윤지민)을 체포하지만 정작 배후인물인 존(김성수)의 행방은 묘연하다. 이후 감독은 경호와 앨리의 회상장면을 통해 사건의 전모를 조금씩 노출한다. 범죄영화의 겉모습을 하고 있지만 ‘모노폴리’는 금융범죄의 과정을 간단하게 처리한다. 오히려 영화가 관심있는 것은 경호와 존의 관계다. 영화는 폐쇄적이고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있는 경호를 위험한 카리스마를 가진 남자 존이 유혹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것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실제 마지막 반전으로 가는 많은 단서들도 범죄장면보다는 이들간의 회상장면에서 등장한다. 욕망과 관심, 심지어 동성애의 느낌까지 버무려진 기묘한 두 사람의 관계를 지켜보는 것이 이 영화의 주된 재미다. 아쉬운 것은 영화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마지막 반전의 힘이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것이다. 마지막 반전에 모든 것을 거는 ‘유주얼 서스펙트’류의 영화가 다 그렇듯 ‘모노폴리’도 영화 곳곳에 반전에 대한 복선이 존재한다. 처음 관람했을 때는 무심코 지나쳤지만 돌려 생각해보면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장치들을 여럿 만들어 배치해 놨다. 하지만 이 단서들은 영화의 줄거리 안에서 자연스럽게 숨겨지지 못하고 종종 돌출된다. 그 때문에 눈치 빠른 관객들은 일찌감치 반전을 눈치챌 수 있다. ‘반전영화’라는 마케팅포인트에 영화가 스스로 얽매인 결과다. 오히려 반전에 힘을 주기보다는 두 남자의 기묘한 관계에 좀더 포인트를 주었더라면 독특한 영화가 나왔을 뻔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