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정학적 조건유리… 향후 2~3년이 주요고비어느 국가(중국은 상하이)가 동아시아의 비즈니스 중심이 될까.
가장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전문가들은 중국 상하이를 꼽고 있다. 그러나 한국 역시 최근 발표한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계획'을 2~3년간 적극 추진할 경우 한번 겨뤄볼 만 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일본은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경기침체와 폐쇄적인 국가 문화가 넘어야 할 산이며, 홍콩ㆍ싱가포르는 중국 본토가 뿜어내는 원심력을 어떻게 견뎌 내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가능성 높은 중국 상하이
중국 상하이는 비즈니스 중심으로서 갖추어야 할 면모를 다 갖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상하이는 일단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국적 기업이 중국 상하이에 동아시아 본부를 갖고 있을 경우 중국 본토와 주변 국가간 교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푸동(浦東)이라는 세계적 규모의 첨단 공업단지 역시 든든한 배후 역할을 하고 있다. 또 현재 추진중이 공항 및 항만 확충 계획이 완료될 경우 상하이는 물류ㆍ사업ㆍ금융의 중심지로써 손색 없는 위치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아직 경제의 개방화 정도가 낮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개방 수위를 점차 높이겠지만 일단 3~4년 내에는 비즈니스 중심이 되기 위한 수준의 개방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급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주변국(특히 미국)의 견제도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계 최강 미국은 동아시아의 모든 것이 중국 상하이로 통하는 상황에 대해 상당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중국을 대신해 이 같은 비즈니스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이 있을 경우 적극 지원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 한국, 앞으로 3년이 중요
한국은 일본과 중국의 중간 지역에 있다는 지정학적인 장점으로 인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제조업 기반이 강하고, 정보기술 인프라 구축이 잘 돼 있는 것도 유리한 점. 그러나 중국과 일본에 비해 내수 시장이 좁고 홍콩과 싱가포르에 비해서는 국제화 부문에서 뒤진다는 게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단 한국은 중국이 어느 정도 경제적 자유도를 달성하기까지의 공백 기간 및 일본의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향후 2~3년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이 2004년까지 이를 강력히 추진한다면 아직 분위기가 성숙되지 못한 중국과 일본을 제치고 동아시아 비즈니스 중심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이창재 박사는 "한국이 2~3년 내 비즈니스 중심이 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중국이나 혹은 일본에게 자리를 내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일본, 걸림돌 많아
일본의 경우 장기 침체로 인해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 최대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폐쇄적인 문화도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비즈니스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자유롭게 사업을 벌일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하는 데 일본은 이 같은 면에서 크게 뒤져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싱가포르ㆍ홍콩은 도시 국가란 약점으로 인해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원심력에 휘말려 그 위치를 상실해 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와 관련, FT는 최근 싱가포르가 동남아시아의 허브(물류 중심지)자리 마저 말레이시아 등 주변국에 빼앗기고 있다고 전했다. 또 블룸버그 통신은 하이테크 산업과 연구개발 센터 부재로 홍콩의 동아시아 중심지 역할 역시 흔들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장순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