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새누리당 인천시장 예비후보 "정부 협력·정책공조 이끌어내 위기의 인천 구하겠다"

부채감축·구도심 균형성장 추진 진정한 동북아 허브 만들 적임자
인천시장이 마지막이란 생각으로 시민 위해 진정성 갖고 임할 것


"저는 안정된 장관직과 국회의원직을 내려놓고 '위기의 인천'을 구하러 왔습니다. 300만 인구로 대한민국의 허브 격인 인천이 바로 서야 합니다."

유정복(57·사진) 새누리당 인천시장 예비후보는 14일 인천 부평 선거캠프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박근혜 대통령의 성공적인 국정수행을 위해 지방선거 승리가 필요해 나왔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안전행정부장관(의원 겸직)으로 실세로 꼽히던 그는 "당 안팎에서 '제가 아니면 안 된다'는 요청을 거듭해 외면할 수 없었다"며 "일신의 영달을 생각하지 않고 제가 필요한 곳에 몸을 던지기로 했다"고 출마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이 해낼 수 없는 중앙정부의 협력과 정책공조를 이뤄내 인천시 발전을 이뤄내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인천이 현재 인구 300만여명으로 수 년 내에 부산을 능가하는 도시가 될 것이고 동북아시대 관문으로서 대형 인프라를 갖춘 중심 보물인데도 현실적으로 그런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유 후보는 박 대통령의 최측근 그룹으로 꼽힌다. 비서실장을 무려 5년이나 했다. 30대에 관선 김포군수, 인천 서구청장을 한 뒤 1995년 김포시장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여야 후보를 합친 표보다 더 많이 얻었다. 그는 당시를 "지연·혈연·학연·돈·정당 없이 정치혁명을 이뤘다"고 표현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친박계 몫으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을 했고 현 정부에서는 초대 안행부 장관으로 발탁됐다. 그는 앞서 2004년 탄핵정국에서 경기·인천(61석)에서 초선의원으로는 한선교 의원과 함께 단둘이 당선되면서 당시 한나라당 대표이던 박 대통령의 눈에 띄었고 이후 내리 3선을 했다.

'박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말을 아끼던 그는 "비서실장을 하며 거짓을 얘기한 적이 없었고 가식도 없었다. 있는 그대로 진정성 있게 모셨다"며 "제가 기가 막히게 잘난 사람이 아니고 말과 행동이 다르지 않고 사심 없이 당당하게 하려고 노력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또 "정치 시작부터 나를 던져버렸고 대통령 곁에서 튀지 않게 진정성을 갖고 행동했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의 상징인 빨간색 점퍼를 입고 인터뷰에 응한 그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송영길 시장을 비난하거나 평가절하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면서도 "송 시장이 정치인으로서 역량을 갖추고 열심히 했고 공과가 있지만 부채가 7조원에서 13조원으로 늘었고 각종 지역사업이 중지되거나 취소됐고 주변 관리 측면에서 문제가 있어 시민에게 실망을 줬다"고 혹평했다. 이번 선거의 주요 쟁점인 부채문제에 대해 송 시장 측은 "인천시 부채가 2010년 9조4,550억원에서 감사원에서 전임 시장이 분식회계를 한 것을 잡아내며 2012년 13조916억원까지 늘었다가 2013년 12조8308억원으로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반박하고 있다. 하지만 유 후보는 송 시장이 부채 문제를 전임 시장(안상수 새누리당 예비후보) 탓이라고 몰아붙일 뿐 제대로 해결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거듭 지적했다. 유 후보는 이어 "공직자는 사심을 갖지 말아야 제대로 일할 수 있다"며 "저는 정치적 이상의 실현을 위해서가 아니라 시장이 마지막 보직이라는 생각으로 시민이나 지역을 위해 진정성을 갖고 임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천시의 발전 과제로 부채감축, 교통, 환경문제 해결, 대형 사업 지속 추진과 방만운용 통제, 신도시와 원도심 간 효율적인 재원배분과 균형 성장 등을 꼽은 뒤 "송도·영종·청라의 경쟁력과 효율성, 비교우위를 키우고 투자유치를 활성화해 인천의 브랜드나 재산가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고 원도심에 대해서 균형 발전을 적극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인천시 같은 문제 때문에 안행부 장관으로서 지자체 부채종합관리계획을 만들었다"며 "시의 출자·출연기관, 공사, 공단의 부채를 통합관리하고 시의회의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행부 장관 시절 역점을 둬 추진한 지방자치 파산제에 대해서도 "지방을 망하게 하려는 게 아니라 방만한 재정운용을 막아 사전에 위기를 예방하려는 것"이라며 "재정이 취약하면 일단 경고하고 심각하면 경보를 내려 공사·공단 통합관리시스템으로 바꾸고 채무관리의 경각심을 높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지방선거 이후에는 단체장 소환 등 지방파산제와 관련된 여러 방안이 본격 추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