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스 태풍이 홍콩의 화장품 업계를 강타, 관련 업체들이 불황 타개를 위해 고전분투하고 있다.
아시안 월스트리트저널(ASWJ)은 사스 예방을 위해 수술용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여성들이 화장품 사용을 기피, 이 지역의 화장품 매출이 급감하고 있다며 6일 이같이 보도했다. 메이블린, 랑콤, 슈에브라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로레알의 경우 지난 4월 홍콩 지역 립스틱 매출이 30% 가량 줄었으며 파운데이션 제품으로 유명한 로라 머시어는 매출이 50%나 급감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업계는 `사스 불황 타개`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로컬 브랜드인 레드 어스가 선보이고 있는 사스 메이크업 캠페인이 한 예. 이 브랜드는 마스크에 가려지는 입술 대신 눈을 강조한 화장법으로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 틈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메이블린의 경우 아이 메이크업 판촉 활동을 벌여 관련 제품 매출이 사스 발생 이전보다 10% 가량 늘었다. 키엘은 고객들이 위생문제에 민감해 있다는 점에 착안, 안면 크린저와 세균 살균용 수렴수, 핸드 크림에 대한 판촉에 주력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윤혜경기자 light@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