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0년대 후반까지 많이 팔렸던 확정금리형 보험상품의 약관대출 가산금리가 최대 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관대출은 은행의 예금담보대출과 개념이 유사한 것으로 금융당국이 과도하게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해 낮췄음에도 여전히 높은 편임이 드러난 셈이다.
특히 관련상품을 많이 팔았던 대형사보다 중소형사의 가산금리가 오히려 더 높아 작은 보험사일수록 저금리에 취약할 것이라는 속설이 간접적으로 증명됐다. 약관대출 최고 금리도 삼성생명ㆍ미래에셋생명 등 일부만 전시효과에 가까운 금리(9.9%)로 한자릿수에 턱걸이했을 뿐 대부분의 보험사가 10%를 넘겼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험상품은 대출이 발생해도 납입보험료에 근거해 이자를 적립해주기 때문에 약관대출금리에 계약 당시 확정금리를 뺀 금리차이인 가산금리가 보험사의 마진"이라며 "수익성 악화로 가산금리를 내리기 어려운 곳이 부지기수"라고 말했다.
◇중소형사가 가산금리 더 받아=약관대출 가산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동양생명으로 최대 3.0%다. 그 뒤를 흥국생명 2.9%, 우리아비바생명 2.75%, 동부생명 2.7% 등이 따랐다.
반면 삼성생명 2.3%, 한화생명 2.65%, 교보생명 2.6% 신한생명 2.3% 등 대형사는 상대적으로 가산금리가 낮았다. 이는 다소 의외다.
외환위기를 전후해 확정금리 상품을 많이 취급했던 쪽이 주로 대형사였음을 감안하면 약관대출의 가산금리도 대형사가 더 높은 게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난해부터 부쩍 강화된 금융당국의 금리 단속이 대형사 쪽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중소형사일수록 저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대변하는 징표라는 견해도 나온다. 가령 중소형사가 고객을 유치하려면 대형사보다 공시이율형 상품의 금리를 후하게 쳐줘야 하는 게 현실이다. 한 중형 생보사 관계자는 "수익을 더 늘리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저금리 리스크에 휘둘리기 쉬운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는 게 맞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 대형사는 2000년대 초반 대대적인 캠페인을 통해 확정금리 상품을 변동금리 상품으로 돌렸다"며 "이런 사정도 금리 수준에 반영됐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내려야 하나" 전전긍긍=약관대출은 대출 받는 시점을 기준으로 해약환급금의 70∼80% 범위에서 대출을 해준다. 보험사로서는 돈 떼일 염려가 없는 셈이다.
그럼에도 가산금리를 받는 것은 자산운용에 쓰일 납입보험료가 대출로 나가는 만큼 관리에 어려움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보험사들은 설명한다. 실제로 은행 대출상품과 비교할 때 보험사의 약관대출은 고객 입장에서 유리한 측면이 적지 않다. 보험의 보장과 적립 기능을 그대로 가져가면서도 대출금리는 낮기 때문이다.
문제는 당국의 금리인하 압력이 하반기에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미 당국은 보험사 대출상품 전반의 금리 타당성을 따져보기 위해 용역을 맡긴 상태다.
한 대형사 관계자는 "가산금리도 가산금리지만 약관대출의 최고 금리도 단속으로 내리면서 일부 대출은 역마진을 감수하고 나가고 있다"며 "저금리 진행속도를 감안해 당국이 보다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