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과 중소벤처기업들이 담보부증권 상환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미 상환이 시작된 대출담보부증권(CLO)의 경우 지난 6월 만기가 돌아왔지만 창투사 중 70%가 이를 갚지 못해 만기연장을 신청했다. 또 내년부터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담보부증권(CBO)의 경우에도 이를 지원받은 기업의 15% 가량이 부도나 법정관리 등 한계기업으로 분류돼 회수가 불투명한 상태다.
지난 2001년 벤처붐을 타고 벤처캐피털과 중소벤처기업들이 잇따라 발행한 대규모 담보부증권이 부메랑으로 돌아와 숨통을 옥죄고 있는 것이다.
벤처캐피털은 2001년(1차)과 2002년(2차) 각각 480억원, 280억원 등 모두 760억원의 CLO를 발행했다. 1차 발행의 경우 지난 6월 310억원 가량 만기가 돌아왔지만 상환된 것은 76억원에 불과했고 214억원은 갚지 못하고 1년간 상환이 연기됐다. 무한창투와 한국아이티, 넥스트, 코러스 등 5개사 등이 연장을 신청했다. 특히 일부 창투사의 경우 자금여력이 없어 20억원 디폴트를 낸 상태다.
오는 12월에는 2차 발행분 CLO의 만기가 예정돼 있어 창투사들이 자금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대부분의 창투사들이 벤처산업 경영악화로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CLO 상환은 상당히 힘들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 M사의 경우 지난해 손실감액 140억원을 포함해 300억원의 적자를 내 이번에 돌아온 CLO 80억원에 대한 상환을 1년간 연장했다. 특히 중소 창투사의 경우 코스닥등록이 줄어들고 있고 투자자금 회수가 어려워 CLO 자금상환은 꿈도 못꾸고 있다.
CLO는 은행에서 창투사에 빌려준 대출금을 기초자산으로 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기술신보가 100% 보증을 섰다. 이번 1차 발행 만기에 생긴 20억원의 디폴트에 대해 기술신보는 13억원의 대위변제를 해야 했다.
CLO와 함께 프라이머리 CBO도 정부가 조속히 대책을 수립하지 않고 손을 놓고 있으면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CBO의 경우 4차례에 걸쳐 194개 벤처기업에 1조8,000억원이 지원되었는데 이중 10% 가량의 기업들이 한계기업으로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관계자는 “이번 CLO 사태의 경우에도 정부가 손을 놓고 있다가 급기야 대출연장이라는 임시방편책을 세웠다”며 CLO 보다 규모가 훨씬 큰 CBO는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조속히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정명기자 vicsj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