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모적인 정치논쟁과 노사간 집단이기주의를 극복하지 못할 경우 우리나라는 필리핀, 베트남 등에도 뒤지는 등 아시아 하위권으로 밀려날 것으로 우려됐다. 따라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려면 국민화합이 필요하며 동시에 `저(低)비용 고효율`을 추구하는 개도국형 전략 대신 전문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내세운 차별화 전략을 추구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산업정책연구원과 국제경쟁력연구원은 16일 `국가경쟁력 보고서2003`을 통해 전세계 68개국의 정치상황ㆍ경영여건ㆍ생산요소ㆍ노사문화 등을 8개항목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한국의 국가경쟁력지수는 48.50으로 25위를 기록, 2001년 22위에서 지난해는 24위로 밀려난데 이어 올해는 이보다 더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미국은 73.88점으로 여전히 1위를 고수했고 이어
▲2위 스웨덴(63.84)
▲3위 캐나다(62.48)
▲4위 영국(62.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부문별 국가경쟁력을 보면 기업가(16위), 전문가(20위) 등 인적자원부문에서는 비교적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근로자(39위), 생산요소조건(59위) 등 원가와 관련된 경쟁력부문은 크게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총괄한 조동성 서울대교수는 “선진국이 차별화 전략으로 활용하는 전문경영자와 기술자 등 전문가그룹의 비중을 더 높이고 개도국형 저(低)원가 전략에 주로 이용되는 근로자 비중은 낮추는 방식을 통해 한국의 시장구조를 철저한 경쟁지향적 체제로 변화시켜야 한다”며 “하지만 정치권의 소모적인 정쟁과 노사 집단이기주의를 극복하지 못하면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도 물거품이 돼 국가경쟁력이 아시아 하위권(43위)으로 추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권과 정부가 국가 마스터플랜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내외 기업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교육시장의 경쟁력을 높여 교육의 질을 선진화 시켜야 세계 일류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됐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