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자유법(FOIA) 등 기발한 투자기법까지 동원하며 수익률 극대화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월가 헤지펀드들의 위기감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수익률이 죽을 쑤면서 투자가들이 이탈하고 있는 데다 금융당국의 칼날도 매서워지고 있는 탓이다.
최근 골드만삭스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헤지펀드 708개의 평균 수익률은 4%에 그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상승률 20%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S&P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올린 곳은 5% 미만이었고, 조사 대상의 25%는 오히려 손실을 봤다. 이들 헤지펀드는 지난해에도 8%의 수익률을 내는데 그치며 16%의 상승률을 보인 S&P 500지수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이 같은 초라한 실적은 '고수익ㆍ고위험' 투자를 선호하는 성향답게 올해도 신흥 증시, 금 등 원자재 시장에 들어갔다가 대거 손실을 본 탓이다. 주가 급락을 예상하고 공매도에 베팅한 것도 저조한 수익률을 이끌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공매도가 집중된 100개 종목의 평균 주가 상승률은 33%에 달했다. 그만큼 헤지펀드들도 막대한 손실을 입은 셈이다.
월가 헤지펀드들이 비싼 수수료에도 명성에 걸맞지 않는 수익률을 올리자 투자가들도 떠나가고 있다. 이 때문에 헤지펀드들은 '2-20'(운용수수료 2%, 성과보수 20%)라는 업계 표준을 무시하고 수수료 깎아주기에 여념이 없는 실정이다. 심지어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하면 수수료를 돌려주거나 성과 보수를 받지 않지 않겠다는 헤지펀드도 속속 나오고 있다.
게다가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미국 금융당국도 '금융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된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헤지펀드의 전설'로 불리는 스티븐 코언 SAC캐피탈 창립자가 내부자거래 혐의로 월가에서 영구 퇴출될 위기에 몰린 게 단적인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