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야기된 동북아시아의 안보위기를 비정부차원에서 논의하기 위한 아·태평양 안보협력위원회(CSCAP)에서 북한측은 종전처럼 북·미간 양자회담을 주장했으나 한국과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은 다자간 협상에 따른 해결을 제시했다.
14일과 15일 양일간 UC 버클리내 동아시아연구소(IEAS)에서 열린 비공개 국제포럼에서 북한측 대표단 3명은 “한반도의 핵위협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미국이 즉각 북한과 직접대화에 나서고 상호 불가침협정을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성렬 주UN 북한 차석대사를 대표로 한 북한측의 김삼종 군축 및 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세계유일의 초강대국인 미국의 군사위협에 맞서 주권과 안보를 지키려는 것이 북한의 입장”이라면서 “미국은 냉전시대의 산물인 북한에 대한 위협정책을 버리고 즉시 쌍무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한국측 대표로 참석한 문하영 외교통상부 정책심의관은 “한국정부는 북한의 붕괴를 바라지 않고 평화공존을 추구한다”면서 “북한도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다자간 협상을 통해 문제를 풀어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국제포럼에는 미국측에서 제임스 허스키 국무부 동북아과 부과장과 헨리 로웬 전 국방부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또한 일본과 중국, 캐나다, 필리핀, 대만 등 12개 국가에서 40여명의 대표들이 참석해 한반도의 긴장이 가져온 세계안보문제의 해결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국제포럼은 비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졌지만 미국정부가 북한대표 2명에 대한 미국입국 비자를 승인했고 한반도 핵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진지한 대화를 나누었다는 점에서 향후 협상진전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지사-한범종 기자)
<미주한국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