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가계대출 11조 돌파 사상 최대

불황에 생계형 자금수요 늘고 대부업체 인수한 저축은행들
공격적 마케팅도 주요 원인에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11조원을 돌파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대출은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계층이 이용하는데다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만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조3,093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조239억원(10.0%)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조3,381억원(26.1%)이나 급증한 것으로 2011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발생 직전을 넘어선 수준이다.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2010년까지 6조원~7조원 수준을 보이다가 2011년 7월 9조원을 넘어섰고 같은 해 12월 10조원대를 돌파하는 등 급증세를 보였다.

이후 저축은행 사태가 터지면서 구조조정 여파로 8조원대까지 떨어졌으나 경기 부진으로 서민의 생계형 자금 수요가 늘면서 다시 증가했다. 특히 최근 대부업체를 인수한 저축은행들이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선 점이 대출 확대의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의 대출금리는 전반적인 저금리 기조에 따라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은행에 비하면 크게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저축은행의 일반대출 금리는 연 11.73%로 집계돼 은행 가계대출 금리(연 2.96%)의 4배에 육박했다.

지난해 말 금융감독원의 현장 조사 결과 개인신용대출 규모가 큰 25개 저축은행 중 대부업 계열 등 20곳은 평균 30%의 고금리를 부과하고 있었다. 또 차주의 신용도에 따라 금리를 차등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