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거세지는 용산역세권 개발

1조 이상 파격 민간혜택 보상안 나왔지만…
개별보상·분양가 따라 추가부담금 불가피
찬성 많던 단독주택가 "우리가 희생양이냐" 불만

실거래가 보상을 주장하는 서울 서부이촌동 단독주택가 골목에 현수막이 걸려 있다. 지난달 23일 이 일대 주민에 대한 보상계획안이 발표됐지만 통합개발 찬성 비율이 높았던 단독주택가 주민들의 여론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서울경제DB


성원ㆍ대림아파트 주민의 통합개발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는 용산국제업무지구 서부이촌동구역. 지난달 23일 1조원 이상의 파격적인 민간 혜택을 담은 보상계획안이 발표됐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오히려 현지 주민 여론은 악화되고 있는 분위기다. 대림ㆍ성원아파트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여전히 높은데다 사업 시행자 선정 당시 찬성표를 던졌던 주민들 사이에서 이번 보상안에 대해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부이촌동 내 기존 아파트와 같은 주택면적으로 옮길 경우 추가부담금이 들지 않게 분양가를 차감해주겠다는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 측의 이른바 '1대1 보상안'을 두고 최근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보상가ㆍ분양가 따라 추가부담금 생긴다=이번 보상안의 핵심은 사업협력자(협의계약을 체결하고 자진이주한 주민)에 한해 기존에 살던 주택면적까지는 평균 보상단가로 새 아파트를 공급하고 초과면적에 대해서만 일반분양가를 적용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평균'의 함정이 숨어 있다. 계획안에 따르면 평균 보상단가는 대림ㆍ성원아파트를 기준으로 산출하고 평균 분양단가는 이주대책 대상자 분양주택을 기준으로 산정해 기존 주택면적까지는 이를 1대1로 적용한다.

이 때문에 평균 보상단가와 개별 보상단가가 다르거나 평균 분양단가와 입주를 원하는 주택의 개별 분양단가가 다를 경우 같은 면적으로 이동하더라도 추가부담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특히 주상복합의 특성상 동ㆍ층ㆍ향에 따라 분양가가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평균 분양단가와 개별 분양단가 격차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당 평균 보상단가를 1,000만원, 평균 분양단가를 1,500만원으로 가정할 경우 개별 보상단가가 700만원인 주택 소유자는 개별 분양단가가 ㎡당 1,500만원인 새 아파트에 입주할 경우 ㎡당 300만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또 ㎡당 1,000만원의 보상을 받았더라도 새 아파트 개별 분양가가 ㎡당 1,800만원이라면 역시 ㎡당 300만원을 더 내야 한다.

◇찬성 여론 높던 단독주택가 주민들 거센 반발=이처럼 평균-개별 보상가ㆍ분양가에 따라 추가부담금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성원ㆍ대림아파트을 제외한 단독ㆍ연립ㆍ다세대주택가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지번(단독주택가)보상대책위 관계자는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주거환경이 열악한 단독주택가 보상가액이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올 텐데 우리만 돈 내고 들어가라는 말이냐"며 "성원ㆍ대림아파트의 찬성률을 높이기 위해 다른 주민들을 희생양 삼은 것"이라고 말했다.

'동일 면적 입주' 역시 논란거리다. 주상복합의 경우 전용면적률이 75% 안팎으로 80%가 넘는 일반 아파트에 비해 낮다. 하지만 드림허브 측이 제시한 동일 면적 주택 입주의 기준은 '공급면적'이어서 새로 받게 될 아파트의 전용면적은 줄어들게 된다. 결국 기존 전용면적을 유지하며 새 집으로 옮기려면 이 역시 추가부담금 지불이 불가피해진다는 것이 주민들의 주장이다.

반면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PFV 측은 이보다 더 나은 보상안은 내놓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기존 보유주택 가치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보상가액이 차이가 나는 것은 당연하다"며 "주민설명회와 상담소 운영 등을 통해 보상안을 정확히 알리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