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에서 영세업체로 분류되는 기업의 수가 무려 76%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제조업의 영세화로 인해 근로자들의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김동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5일 ‘제조업의 양극화와 중소기업의 영세화 실태에 관한 실증분석’이란 보고서에서 지난 80∼2003년 광공업통계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종업원수 20인 미만 영세업체의 수가 전체 제조업체(종업원 5인 이상 기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년 59.6%에서 2003년 75.9%로 증가했다. 생산액 기준으로도 영세업체의 수는 80년 3.6%에서 2003년 12.2%까지 올랐다.
영세 제조업체의 수가 늘면서 이들 기업에 일하는 근로자 수도 늘었다. 영세업체 근로자의 비중은 80년대 후반까지는 10% 안팎에 그쳤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03년에는 27.3%로 높아졌다. 반면 대기업(종업원 수 300인 이상)에서 일하는 종업원 수 비중은 80년 50.9%에서 2003년 22.9%로 급감했다.
김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영세화가 심화되면서 종업원들의 소득양극화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80년 이후부터 종업원 1인당 평균 노동소득(명목기준) 증가율은 대기업 14.4%, 중기업(종업원 50~299명) 12.7%, 소기업(종업원 20~49명) 11.9%, 영세업체 11.0%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로 인해 2003년의 경우 대기업 종업원이 100만원을 받을 때 중기업은 60만원, 소기업은 50만원, 영세업체는 40만원을 받게 됐다고 김 연구위원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