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공무원과 연락이 되셨나요. 통화해 보십시오." "해당 공무원이 내려와야 출입이 가능합니다."
지난 22일 세종정부청사를 방문한 기자는 불편함이란 단어를 가장 먼저 떠올렸다. 이미 민원실에서 한차례 실랑이를 벌인 후 부처 입구에서도 동일한 경험을 했기 때문이다.
입구를 막고 있는 안전요원들은 기자에게뿐만 아니라 다른 민원인들에게도 고압적인 태도를 보이기 일쑤였다.
그나마 기자는 과천청사 출입증이 있었기 때문에 덜했지만 일반인들은 민원실에서 출입증을 받았더라도 정작 청사에 방문하려면 담당 공무원을 몇 층 아래로 불러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야 한다.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는 정부부처의 공무원들을 만날 수는 없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정도였다.
취재상 겪는 불편함도 이와 다를 바 없다. 국토해양부 해당 국ㆍ과장에게 해당 사항에 대한 취재를 하려고 하면 "서울 출장을 갔다" "국회에 갔다"는 기계적인 답변이 돌아올 뿐이다.
세종시내 부처에 정식 출입하는 기자가 이 정도다. 일반 민원인들의 불편은 더하다. 서울에 거주하는 민원인이 세종정부청사를 방문한다고 가정할 때 서울역에서 오송역까지 KTX를 타고 가는데 1만8,000여원, 오송역에서 세종청사까지만도 3만여원의 택시비를 지불해야 한다. 대중교통 대신 자가용으로 세종시를 오가는 불편함과 비용 낭비는 굳이 말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세종시는 '누구나 살고 싶은 지속 가능한 세계적 모범도시'를 내세우며 출범했다. 하지만 아직은 '공무원도 살기 싫은 도시'와 다를 바 없다. 세종시 첫 마을 입주민 가운데 정부청사 공무원은 2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게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새 정부는 '대통합 정신'을 대선공약 가운데 최대의 가치로 내세우고 출범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강한 의지를 통해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세종시가 벌써부터 불편ㆍ불통ㆍ불만의 상징이 되고 있는 건 아닌지 되새겨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