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 SEN 개국 4돌 설문] 행복지수 높이기 역시 경제!

정치적 요인 9% 그쳐


차기 정부가 국민들의 행복을 위해 최우선 순위에 둘 것은 경제라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정치권이 해묵은 이념이나 복지를 놓고 소모적 논쟁을 벌이기보다 당장의 벌이(소득)와 빚(가계부채), 씀씀이(물가)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소리다.

서울경제TV SEN과 현대경제연구원 공동 설문조사에 따르면 차기 정부에서 국민들의 행복감 제고를 위해 가장 신경 써야 할 분야는 '경제적 요인(5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사회적 요인(31.2%), 정치적 요인(9.2%), 개인적 요인(3.4%) 등이 뒤를 이었다. 경제적 요인 가운데서도 소득(49.1%), 물가(35.4%), 가계부채(7.9%), 주택가격(7.6%) 등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 가운데 '소득'에 가장 민감한 것은 자영업자(65%)였다. 또 저소득층 못지 않게 700만원 이상 고소득자(70.6%)와 자산규모 20억원 이상의 자산가(80.0%)들 역시 소득이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주택가격'에 대해서는 은퇴연령인 50대(9.9%)와 주택구입 연령층인 30대(8.3%)의 관심이 높았다. 이어 '가계부채'는 주택담보대출을 갚고 있는 30대(10.1%)와 40대(11.6%)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변했다. 특히 가계부채 문제는 대구ㆍ경북ㆍ강원(13.3%)이 서울(8.8%)보다 답변비중이 높아 빚 부담이 행복을 갉아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