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위기에 현명한 대처를

전업카드사들의 기업어음(CP) 등에 대한 만기일이 연말로 다가온 가운데 카드발 금융위기설이 고조되고 있다. 현재 유동성악화로 위기를 맞고 있는 카드사는 LG카드와 외환카드 2개사인데 외환카드는 외환은행에의 합병으로 가닥이 잡혀가는 모습이나, LG카드는 채권단과의 협의가 순조롭지 못해 정상화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였다. LG그룹측이 대주주의 1조원 증자, 1조원 외자유치 등의 자구책을 제시한 데 이어 채권단에 LG카드의 매출채권 10조원과 LG카드 및 LG투자증권의 대주주 보유주식을 담보로 제출하면서 2조원의 신규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나 채권단이 담보가치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시했기 때문이다. 특히 채권단은 금융계열사 이외의 개인지분 등 사재(私財)를 채권단 공동담보로 제공할 것을 요구했지만 LG그룹의 지주회사인 (주)LG의 구본무 회장 지분을 내놓는 것은 곤란하다는 게 그룹의 입장이었다. 카드사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최근 다시 연체율이 올라가고 있고 카드채 거래도 거의 중단된 상태인 만큼 LG카드의 정상화 여부는 화급을 다투는 사안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국제신용평가기관인 피치도 이날 국내 가계대출의 11.9%를 차지하고 있는 신용카드업계의 재무 건전성을 우려하면서 LG카드와 외환카드의 위기를 거론하고 나섰다. 8개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채권단의 엄격한 요구는 확고한 정상화 의지를 보여달라는 것이 만큼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요구라고 보여진다. 하지만 경영권의 토대인 지주회사의 지분을 담보로 제공하라는 것은 다소 지나친 감이 없지 않았다. 경영권에 대한 위험까지 감수해야 한다면 협상이 저해 받을 소지가 있다고 LG그룹측이 반발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LG그룹이 지배구조 개선차원에서 지주회사 전환에 쏟은 노력을 감안할 때 더욱 그렇다. 더욱이 최근 LG그룹은 대선자금 사건과 관련, 그룹 총수가 출국금지된 상태에서 기업활동이 극도로 위축된 상황이다. LG카드 사태는 LG그룹으로서는 삼각파도와 같은 것이다. 이럴 때 채권단이 숨쉴 틈도 없이 기업을 몰아붙이는 것은 현명한 처사라고만 하기는 어렵다. 이날 협상을 통해, LG그룹의 구회장이 지주회사 지분까지 담보로 제공, 자구의지를 분명히 함으로써 2조원의 신규자금 지원문제를 매듭짓고, 지원금 분담에 이의를 제기하던 채권단도 거부의사를 거두어 들인 것은 다행이다. 이것이 카드발 위기를 진정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박현욱기자 hwpark@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