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경쟁력 강화로 '반도체 건재' 확인

■ 삼성전자 '화려한 부활'
모바일D램등 고부가 비중 늘려 제품 차별화
휴대폰 신흥시장 판로확대등으로 매출 신장
LCD도 가격회복 힘입어 영업익 6,700억원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를 넘어 드림 어닝(Dream earning) 수준이다.” 3ㆍ4분기 삼성전자의 경영성적표를 설명하는 자리에서 주우식 삼성전자 IR팀장(부사장)은 이같이 표현했다. 사상 최대 분기 매출,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분기 영업이익 2조원대 회복 등등. 초라한 경영실적으로 우울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던 석달 전과는 완연하게 다르다. ‘삼성전자의 귀환’의 가장 큰 배경은 반도체 부문의 건재. 주 부사장은 “모바일 D램과 그래픽 DDR, SD램 등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늘렸다”며 “80나노(6F스퀘어)와 68나노 제품 비중을 전체 생산량의 60%로까지 확대하는 등 제품 구성을 차별화하는 동시에 원가경쟁력을 강화한 것이 실적개선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D램 반도체는 상반기까지만 해도 가격이 60% 이상 급락하며 극도로 불안한 모습이었다. 지난 2ㆍ4분기에는 영업이익 3,300억원에 그쳐 삼성전자의 총 영업이익을 1조원 미만인 9,100억원으로 끌어내리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었다. 이처럼 반도체 부문 호전이 가시화되자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8월 반도체 정전사고의 후유증을 효과적으로 극복해낸 것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3ㆍ4분기 실적으로 얘기하겠다고 밝힌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의 약속이 실현된 셈”이라며 “수천억원의 손실을 입었을 것이라는 우려가 불식됐다”고 지적했다. 사업 포트폴리오의 또 다른 주축인 휴대폰 역시 한몫을 톡톡히 해냈다. 2ㆍ4분기에는 보급형 휴대전화 매출확대 전략 때문에 수익성이 낮아져 영업이익은 3,500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3ㆍ4분기에는 울트라에디션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증가 등에 힘입어 분기 사상 처음으로 5조800억원의 매출에 전 분기 대비 67% 증가한 5,9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판매량도 분기 사상 최다인 4,260만대에 달해 누적 판매량이 이미 지난해 총판매량인 1억1,400만대를 넘어선 1억1,500만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휴대폰 약진에 대해 “신흥시장 저가폰 판로 확대와 수익개선의 기반을 전 분기에 확실하게 확보했다”며 “평균 판매가격이 151달러(2ㆍ4분기 148달러)로 올랐고 영업이익률도 4%포인트 증가한 12%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LCD 분야도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LCD 가격이 회복되면서 6,700억원(2ㆍ4분기 2,9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8월 8세대 라인이 본격 가동되면서 감가상각비용 부담이 발생했지만 너끈히 이를 극복해내는 강한 체질임을 스스로 증명했다. 다만 TV 등 디지털미디어 분야와 생활가전은 본사 기준으로 보면 모두 영업적자를 냈다. 회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 분야 제품의 90% 이상이 해외에서 생산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연결기준을 적용한 실적이 유효하다”며 “디지털미디어 분야는 연결기준으로 2,400억원, 생활가전은 400억원의 이익을 올렸다”고 강조했다. 주 부사장은 “이번 실적은 삼성전자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하다”며 “4ㆍ4분기에는 크리스마스 특수 등 본격적인 성수기가 이어져 메모리ㆍ휴대폰ㆍLCDㆍTV 등 주력 제품에 대한 견고한 수요 증가세가 기대되는 만큼 실적 성장세를 지속시켜나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