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운동부산 치료ㆍ예방법

골프나 테니스 등 운동을 하다 근육손상이나 골절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운동 중 사고가 잦은 것은 찬 바람 때문에 몸을 움츠리면 근육수축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몸의 유연성까지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과거 관절염이나 관절손상을 받았던 환자라면 갑작스런 운동이 오히려 재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겨울철 운동손상은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것이 주원인이기도 하지만 60% 이상은 잘못된 몸놀림이나 운동 때문이다. 충분한 준비 없이 운동을 하면 관절에 무리를 줘 같은 양을 하더라도 여름철에 비해 몸이 과도사용(Overuse) 돼 쉽게 다친다. 대표적인 것이 팔꿈치-어깨힘줄 손상이다. ◇골프ㆍ테니스 엘보(팔꿈치 힘줄 손상)=테니스ㆍ골프 등 팔을 과도하게 쓰는 운동을 하거나 직업상 팔을 많이 쓰는 사람들에게 많다. 평생 테니스 라켓 한번 안 잡아본 전업주부도 테니스 엘보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테니스 엘보는 대부분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오는 반면, 골프를 치고 나서 생기는 통증은 주로 팔꿈치 안쪽에 생긴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원인은 팔꿈치 안쪽과 바깥쪽에 튀어나온 뼈에 붙어 있는 힘줄에 무리가 가서 힘줄이 뼈에서 들뜨거나, 힘줄 내부가 파열됐기 때문이다. 일단 힘줄에 무리가 가게 되면 물건을 들거나 운반할 때 팔꿈치에 통증을 느끼고, 심하면 팔 아래로 내려와 악수를 하거나 열쇠를 돌릴 때, 머리를 빗어도 통증을 느낀다. 30∼50대에 가장 흔한데 이런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 더 이상의 악화를 막아야 한다. 통증이 팔꿈치 바깥쪽이나 안쪽 튀어나온 뼈 주위에 있을 때, 이 부위를 손가락으로 힘껏 눌러 심하게 아프면 의심해 봐야 한다. 아픈 쪽 팔꿈치를 완전히 펴고 손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있다면 엘보이다. 가장 필요한 치료법은 4∼6주간 팔을 쉬게 해주면서 정확한 운동치료로 재발을 막는 것이다. 테니스를 칠 때 생기는 팔꿈치 통증은 대부분 좋지 않은 백 스트로크 자세에서 나온다. 백 스트로크 때 팔꿈치가 구부러진 자세로 볼을 치면 팔을 폈을 때보다 볼의 충격량이 상당히 커서 무리를 준다. 이 밖에 그립이 지나치게 크거나 테니스 라켓 줄이 너무 팽팽해도 좋지 않다. 주부의 경우 빨래 짜기, 마루 닦기 등 일상 생활에서 잠시 벗어나 팔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테니스 엘보가 재발하는 경우는 25%, 만성화 될 확률은 40%로 생각보다 많다. 만성화 된 상당수의 환자들은 수술까지 받는 고초를 겪는다. 경험 많은 전문의가 중요한 것은 힘줄 상황을 봐가며 가장 적당한 수술법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어깨 힘줄 손상=어깨에는 4개의 힘줄이 있다. 이것이 미세하게 늘어나거나 찢어지면 만성 어깨 관절통을 부른다. 운동 후 어깨가 아프고 굳어진다면 상당수가 회전근개 파열로 온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젊었을 때 건강한 힘줄은 큰 힘을 가해야 끊어지지만 나이가 들면 힘줄이 약해져 일상생활 중의 가벼운 힘에도 끊어진다. 중년 이후는 퇴행성으로 실밥이 풀어지듯 회전근개 파열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어깨힘줄에 손상이 있으면 팔을 들 수 없고 특히 밤에 심한 통증이 온다. 오십견은 아픈 팔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통증과 심한 운동 제한을 느끼지만 특정 범위에서만 통증을 느끼고 운동제한은 심하지 않다. 음료수 캔을 손으로 잡고 엄지가 땅을 향하게 팔을 돌린 후 들어 어깨에 통증이 있으면 회전근개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장기간 가벼운 운동으로 풀어줘도 낫지 않을 경우에도 회전근개 파열이라고 보면 틀림없다. 이 때는 대부분 진통소염제 투여나 코티손 또는 하이알 제제의 주사, 온열치료, 운동요법 등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2주 이상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으면 회전근개 상태를 정확히 진단한 후 악화정도에 따라 내시경 수술이 필요하다. 회전근개 수술은 끊어진 힘줄을 원래대로 다시 연결시켜 주는 치료로 힘줄이 다시 뼈에 튼튼하게 연결되면 예전과 같이 팔을 자유로이 올리고 쓸 수 있다. "심각한 손목손상 내시경치료 효과” 이석범 한림대성심병원 교수 손목골절과 연골손상은 운동이나 빙판길을 가다 넘어지면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골절은 방사선 사진으로 쉽게 진단되며 뼈를 맞추고 석고 고정하면 잘 치료된다. 그러나 뼈가 잘 붙은 후에도 통증이 있을 경우(전체의 약 30%), 그리고 골절되지 않았는데도 낫지 않고 계속 통증이 온다면 손목의 삼각연골 손상일 가능성이 높다. 이 곳을 다치면 방사선 검진으로는 잘 진단되지 않으면서도 손목을 움직일 때 거북하고 문을 밀기가 힘들거나 손을 돌리면 바로 통증이 온다. 이 때는 손목의 척골 쪽(새끼손가락 쪽)을 눌러 통증이 있고, 반대쪽 손으로 손목을 최대한 외회전ㆍ내회전 시켜 같은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면 삼각연골에 손상을 의심해야 한다. 보존적 치료로 잘 낫지 않으면 내시경수술이 필요하다. 직경 2.7 ㎜의 초소형 손목 관절내시경을 이용한다. 큰 상처 없이 삼각연골 손상을 부드럽게 절제해주고 헐어 파열된 부위는 관절경으로 보면서 녹는 실로 봉합해 통증을 없앨 수 있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삼각연골과 인대를 한꺼번에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다. <박상영기자 sane@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