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펀드 투자, 분할매수에 초점 둬야

장기적 관점에서는 국내주식형펀드 투자기회
중국주식형펀드도 주목해야


유럽 재정위기와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하반기 펀드 투자는 고수익보다 자산가치 방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펀드 내 안전자산의 비중을 높이고 자산배분 또는 분할매수펀드 등의 비중을 둘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유로존 위기의 불씨가 남아있고 정치적 이벤트도 예정돼 있어 증시의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자산배분펀드나 분할매수펀드 등으로 수익률 변동성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둘 것을 조언했다.

서동필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로존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어 대외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또 대내적으로는 올해 12월 대통령선거가 예정돼 있어 국내외 정치적 이슈에 따라 증시가 출렁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글로벌 경기의 회복 속도도 예상보다 느린 점을 고려할 때 하반기 증시는 상반기 보다 나빠질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펀드 투자에 있어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후정 동양증권 연구원 역시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증시의 변동성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투자자들은 자산배분을 통해 위험에 대한 노출 비중을 조절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수익률이 변동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포트폴리오 내 안전자산의 비중을 높이거나 자체적으로 수익률 방어 효과가 있는 펀드들을 선택하라고 강조한다.

서 연구원은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주식 비중은 줄이는 대신 안전자산인 채권 비중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개인적으로 포트폴리오 조정의 여유가 없을 경우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펀드들을 선택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 연구원이 추천하는 펀드는 자산배분펀드와 분할매수펀드, 목표전환형펀드. 자산배분펀드의 경우 주식과 채권, 통화, 원자재 등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개별 자산의 변동성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 분할매수펀드의 경우 주식의 매입 시기를 조절해 수익률의 변동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목표전환형펀드는 적정 수익률 달성시 채권형으로 전환해 지수 등락에 상관없이 목표했던 수익률을 유지한다.

변동성에 대한 우려는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현재 시점이 국내주식형펀드 투자의 적기라는 의견도 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정책 공조로 경기 회복에 대한 신호가 나타날 경우 올해 초와 마찬가지로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재현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펀드멘털 측면에서 볼 때 국내 주식시장은 글로벌 유동성을 유인하기에 충분하다는 지적이다.

김후정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3차 양적완화와(QE3)와 유럽중앙은행의 3차 장기대출프로그램LTRO 등 양적 완화 정책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며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경기 회복에 대한 신호가 나타날 경우 돈은 다시 이머징마켓으로 흘러 들어올 것”이라 내다봤다. 그는 이어 “경기가 살아나는 속도나 개별 기업의 펀드멘털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글로벌 자금을 유인하기에 충분하다”며 “변동성에 대한 우려는 있지만 현재 지수 수준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국내주식형펀드에 투자하는 적기라 할 만큼 낮은 수준이다”고 말했다.

김대열 하나대투증권 펀드리서치팀장은 “당장은 경기 모멘텀이 약하고 종목별 차별화 양상에 따른 순환매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여 국내주식형펀드 투자에 따른 기대수익률을 낮춰야 할 시점이다”면서 “그러나 경기 보다는 향후 성장성이 기대되는 성장형펀드와 지수 전체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에 대한 투자하는 전략은 유효할 것”이라 강조했다.

한편 해외주식형펀드 중에서는 단연 중국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비록 최근 1~2년 사이 중국 경제가 주춤한 모습을 보이면서 대다수의 중국펀드들이 초라한 성적표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만큼 경기 회복에 따른 성장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서동필 연구원은 “장기적 성장 축을 수출에서 내수로 변화시키겠다는 중국 정부의 정책은 단기적으로도 중국 경기에 우호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최근 금리인하 발표 외에도 하반기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정되는 등 중국의 경우 다른 국가에 비해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카드가 많다는 점에서 경기 회복 속도도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대열 팀장도 “중국의 경기가 바닥인 만큼 경기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어 글로벌 유동성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준율 추가 인하와 내수부양 정책 등 정책 기대도 남아있어 하반기 바닥권을 탈피할 것”이라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