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국정 수습" 鄭총리 거취 논란 일축

[MB 지방선거후 첫 對국민 연설]

정운찬 국무총리가 14일 오전 정치 분야 대정부 질문을 위해 열린 국회 본회의에 출석, 국회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기에 앞서 국회의장에게 인사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이명박 대통령의 14일 내각개편 입장발표와 세종시 수정안 국회처리 요청에 따라 '세종시 총리'로 불리는 정운찬 국무총리의 거취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정 총리는 이날 정치 분야 국회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 "자리에 연연하지 않지만 적어도 당분간은 국정을 수습하도록 하겠다"며 논란을 일축했다. 특히 정 총리는 자신의 '인적개편 건의설'과 관련해 "제가 대통령과 독대해 인적쇄신을 건의할 예정이었다가 하지 못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공식 부인했다. 정 총리의 언급은 여권 일각과 야권의 조기사퇴 요구에 정면으로 맞서면서 국정수습에 무게를 두고 그 이후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결단을 내리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일각에서는 세종시 수정안이 당초 정부의 의지대로 관철되지 못하더라도 정 총리는 당분간 4대강 사업과 교육개혁ㆍ경제정책 등 굵직한 현안들을 챙기며 총리로서의 본분에 충실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정 총리는 이날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 '세종시 수정을 절대적 목표로 생각하지 않았느냐'는 물음에 "'세종시 총리'로 불리는 것은 부끄럽지 않지만 세종시 일만을 하기 위해 총리가 된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럼에도 정 총리 거취 문제는 언제든 불거질 수 있다. 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이 정부의 의도대로 처리되지 못할 가능성이 큰 만큼 야권의 사퇴 공세가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선거패배에 따른 이 대통령의 국정쇄신 과정에서 정 총리가 어쩌면 '계륵'과 같은 존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까지 내놓고 있다. 거취의 경우 총리 본인의 의중도 중요하지만 이 대통령의 내각 시스템 개편 과정에서 당정청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마무리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