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단기자금 대출제한조치와 관련, 대기업보다는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국내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기업계는 중국정부가 은행을 통한 외국 투자기업의 자금조달 규제를 강화할 경우 투자ㆍ영업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지고 투자계획이 백지화되는 사례가 속출할 것으로 우려했다.
특히 이미 중국에 진출한 중소기업의 경우 지금까지 제한이 없던 단기자금 대출한도가 생기면 가뜩이나 ‘차이나 쇼크’로 시름을 앓아온 업체의 경우 부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중국에 진출하는 중소기업은 대부분 100만달러 가량의 외화자금을 대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자본금ㆍ투자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이 더 큰 피해를 볼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완제품을 생산하는 대기업과 중국에 공동 진출한 코스닥 등록업체 S전자는 중국 현지법인에 대한 공격적 투자계획을 보류, 주문상황을 봐가며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VDSL 장비를 생산하는 W사는 차이나 쇼크 이후 중국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투자여건이 악화돼 현재 생산라인을 건설하려던 계획을 보류했다. 미리넷ㆍ텔슨정보통신ㆍ기가링크 등 중국시장 비중이 적거나 없는 업체들은 중국 진출 대신 당분간 일본ㆍ러시아ㆍ중남미 등 다른 지역에 대한 수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중국에 상용차 조향장치 및 환경설비용 워터펌프 합작공장 설립을 추진해온 인천 남동공단의 D사ㆍK사 사장은 국내 은행의 중국지점을 통한 대출마저 까다로워지면 진출계획이 백지화될 수밖에 없다고 씁쓸해했다.
한편 중국에 현지공장을 둔 한 금형업체 사장은 “현지 대출규모가 미미해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대출규제로 중국 내수시장이 움츠러들면 시설투자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등 간접적 영향이 더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본사 지급보증으로 2개 국내은행의 중국지점에서 1억달러를 대출받아 최근 중국 공장을 완공한 코스닥 등록업체 한국전기초자의 한 관계자는 “1년 이상 중장기자금을 대출받아 시설투자 등을 끝냈기 때문에 당장 문제될 게 없다”면서도 “다만 대출규제가 강화될 경우 오는 7월부터 양산에 들어가는 데 필요한 운영자금 등 조달에 일부 차질이 생길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철저한 준비 없이 중국 진출을 시도하는 업체가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KOTRA의 한 관계자는 “세제혜택이나 저렴한 인건비를 이용한 임가공 위주의 중국 투자를 추진하려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면밀한 분석 없이 중국 진출을 시도하는 것을 억제하는 순기능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 통신장비업체 관계자는 “중국 로컬 업체들의 경쟁력도 만만찮은 상태여서 국내 업체들의 ‘탈중국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