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그룹 관계자는 『국가 경제의 부담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번 대우 워크아웃 작업이 어느 때보다 성공적으로 이뤄지기를 바란다』며 『대우의 주력사들이 이번 작업을 통해 가장 빠른 시일 안에 기업정상화가 이뤄져야만 국가부담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특히 정부 및 채권단의 이번 조치가 오히려 좀더 일찍 이뤄졌어야 했다는 지적도 많았다.
5대그룹의 한 관계자는 『대우의 유동성 위기가 수면 위로 불거진 이후 사실상의 부도상태가 한달 이상 지속됐다』며 『이 기간동안 산업계 전반은 물론 금융시장으로도 숱한 파장이 번졌다』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결정을 좀 더 일찍 내렸다면 오히려 기업 회생작업을 보다 순탄하게 진행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대우가 30여년 넘게 이룩해 놓은 생산, 영업 및 수출 기반들이 그동안의 엉거주춤한 불안정상태 지속으로 크게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대우 회생의 근간인 협력업체들을 위해 보다 전향적인 후속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 다른 5대그룹의 한 관계자는 『국제통화기금(IMF)체제이후 기업마다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방만하게 운영돼 온 각종 부실사업을 정리하고 자산을 매각했다』며 『대우는 이 과정에서 여타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조정에 가속도를 붙일 시기나 기회를 갖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
재계는 한편 이번 대우의 워크아웃 결정과 관련, 이를 계기로 다시 한번 국내 산업계에도 시장경제의 논리가 냉정하게 적용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형기기자KKI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