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청년의원에 거는 기대


4ㆍ11 총선의 시대적 화두 중 하나가 바로 '청년 정치'였다. 이른바 2030세대들은 선거 과정에서 소셜미디어를 통해 대학등록금, 청년실업 문제 등에 대해 또렷한 목소리를 냈으며 정치권은 '스윙보터(Swing Voter)'인 청년층을 겨냥해 다양한 선거전략을 마련했다. 특히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정치적 파워그룹으로 부상한 2030세대의 표심을 얻기 위해 앞다퉈 오디션 형식의 청년비례대표제를 도입해 눈길을 끌었다.

19대 총선에서 20대 국회의원은 등장하지 못했지만 총 9명의 30대 청년이 국회에 입성했다. 청년 국회의원의 탄생은 일단 긍정적이다. 그동안 현실 정치에서 소외됐던 2030세대가 직접 젊은 층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은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동시에 참신한 청년 정치인들이 기존 정치권의 구태와 악습을 걷어내고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게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정치 신인들이 기성 정치인들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줄지는 미지수다. 경험과 경륜이 부족한 탓에 기성 정치의 늪에서 제 목소리를 내기는커녕 구태 정치인들의 아바타로 전락할 수 있다는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2030 정치인들이 중장년층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오로지 청년층의 이익만 대변하려 할 경우 자칫 세대 간 단절의 상징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일부 제기된다.

청년 국회의원들의 전문성과 자질은 19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혹독한 검증대에 오를 것이다. 어쩌면 기성 정치인들보다 몇 배 더 가혹하고 철저한 검증이 가해질 것이고 정치적 역량 부족과 도덕성 시비에 휘말리며 한계를 드러내는 정치 신인이 생겨날지도 모른다. 더욱이 수십년간 기성 정치권을 지배해온 공고한 지역주의와 '내 편이면 무조건 옳다'는 식의 진영논리가 높은 현실의 벽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국민들은 청년 국회의원들에게 낡은 이념의 굴레를 벗어던지고 구태 정치라는 장애물을 뛰어넘어야 하는 시대적 소명을 기대한다. 청년 의원들은 젊음이 과오에 대한 면피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청년답게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정치인이 되기를 바란다. 기성 정치에 염증을 느끼는 국민들에게 새 정치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부디 청년 정치의 꽃을 피워주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