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선 '달러 캐리' 실체·규모 파악도 못해

외국자금·주식·펀드등 구분 명확지 않고
기본 데이터 없어 당국 전망도 '엇박자'


달러캐리 트레이드의 움직임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실체와 규모조차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국은 달러캐리 자금 자체에 대한 정의조차 내리고 못하고 있다. 국내 채권ㆍ주식에 투자되는 외국계 자금 모두를 포함시킬지, 장기자금과 단기자금은 구분해야 하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는 "통상 국내에 유입되는 달러캐리 트레이드는 주식으로 좁혀 보는 게 맞을 것 같다"면서도 "장기 성격의 뮤추얼펀드를 포함시키면 규모가 너무 커지고 단기ㆍ투기성의 헤지펀드에만 국한하면 너무 작아진다"며 규모 파악에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그는 특히 지난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중반에 활발했던 엔캐리 트레이드의 경우 국내 유입규모가 수십억달러에서 수백억달러까지 엇갈렸다며 달러캐리 역시 비슷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기본 데이터가 없으니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에 대한 전망 또한 불분명한 게 현실이다. 당국의 목소리도 엇갈릴 때가 많다. 외환당국의 한 관계자는 "지금 달러캐리 트레이드는 2006년 이후 지속된 외국인의 포트폴리오 조정이 마무리되고 4월 이후 한국 비중을 다시 채워가는 과정으로 보인다"며 "과거와 비교해 아직 비중이 넘치지 않은 상태여서 일시적인 달러캐리 유출은 과도한 걱정"이라고 전망했다. 2006년 국내 주식시장에서 40%에 달했던 외국인 지분율은 지난해 말 26%까지 축소된 뒤 최근 달러캐리에 힘입어 31~32% 수준까지 증가했다. 이에 반해 다른 관계자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빨리 시행될 경우 캐리 트레이드가 급격히 청산되면서 환율 급변동, 급격한 자금 유출입 등의 영향으로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며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