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경제운용 방안] 건설산업 지원 늘려 내수 활성화… 2조 투입 부실 PF 털어낸다

■ 부동산
3조 P-CBO 발행하고 건설사 상생펀드 1942억 조성… 협력사 저리 지원
부실 시행사 시행권 취소도 추진

이명박 대통령이 28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 참석해 관계장관들로부터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 보고를 받고 있다. 고영권기자




'건설산업 체질 강화를 위해 털 수 있는 것은 털고 간다.'

정부가 28일 내놓은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건설사 지원 방안이다. 정부는 2조원을 투입해 은행권 소유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을 매입한다. 자금난에 시달리는 중소건설사의 숨통을 터주기 위해 3조원가량의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도 발행한다. ★본지 5월23일자 1·4면 참조

이는 정부가 하반기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침체돼 있는 건설투자가 좀 더 활기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건설회사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부실 PF 채권 매입과 P-CBO 발행이라는 투 트랙 전략을 통해 돌파해보겠다는 의미다. P-CBO 발행이 건설사에 대한 직접적 자금지원 성격을 갖는다면 부실 PF 채권 매입은 은행의 자금 숨통을 터 건설사에 대한 자금 지원으로 이어지게 하는 간접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의 고위관계자는 "건설사의 경영정상화와 건설사업의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이번 기회에 털 수 있는 것은 모두 털고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실 PF채권 매입은 현재 운영되는 PF정상화뱅크의 자본 확충을 통해 해결하게 된다. PF정상화뱅크는 민간 배드뱅크인 유암코(UAMCO)가 은행권 부실PF 채권을 매입하기 위해 국민·우리·농협·신한·산업·기업·하나은행 등 7개 시중은행과 공동으로 설립한 사모펀드(PEF)다. 정부는 바로 이곳에 2조원을 투입해 은행권의 PF 채권을 추가로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은행권이 소유한 부실 PF 채권 가운데 은행이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실 PF 채권 규모를 약 2조원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대책이 시행되면 은행이 보유한 부실 PF 채권은 모두 정리되는 셈이다.

P-CBO 발행은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건설사의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P-CBO란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의 회사채 발행을 돕기 위해 신용보증기금에서 보증을 서 신용도를 높인 증권을 말한다. 해당 기업은 P-CBO를 시장에 매각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P-CBO는 지난 2010년 12월 첫 발행된 후 올해 6월까지 총 여섯 차례에 걸쳐 1조3,000억원가량 발행됐다. 일각에서는 지원이 필요한 업체가 많다 보니 '허기만 달래는 수준'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자금난에 빠져 있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가뭄의 단비'와 다름없다. 정부는 신보의 신용보증을 통해 최우량등급(AAA)으로 상향된 증권을 총 3조원까지 발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 밖에 건설대형업체와 은행이 공동으로 상생협력펀드(1,942억원)를 조성해 협력업체에 저리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방안도 추진된다. 대형사가 주거래은행에 약정액을 무이자로 예치하면 은행은 협력사에 대해 대출금리를 1~2% 깎아주는 방식이다. 올해 말로 일몰되는 부동산투자회사의 임대소득 공제(50%)도 오는 2015년까지 연장되고 신보의 건설공사 브리지론 보증 재시행도 추진된다.

당근책만 있는 것은 아니다. 부실 시행사 구조조정을 위해 자본력이 떨어져 사업 능력이 없는 시행사를 원만하게 퇴출시키는 구조를 만들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중 부실 시행사에 대해 시행권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을 검토한다. 또 시행사의 사업수행능력과 수익성 등을 평가하는 부동산 사업평가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