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에 희망 준 박인비 그랜드슬램 신화

골프여제 박인비 선수가 아시아선수로서 첫 '커리어 그랜드슬램'의 위업을 달성했다. 그의 성취는 개인적으로도 값지지만 최근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국민과 기업 모두에 한여름 소나기와 같은 청량감을 선사했다는 점에서 더욱 축하받아 마땅하다.

국민 전체가 외환위기라는 전대미문의 충격에 빠져 있던 1998년, 약관의 박세리 선수가 맨발의 투혼으로 세계 최고 귄위의 US여자오픈에서 우승했던 때를 기억한다. 당시 온 국민은 그가 18홀 연장전서 양말까지 벗어던진 채 연못에서 공을 쳐내는 모습을 지켜보며 마음만 먹으면 극복하지 못할 위기는 없다는 가르침을 받았다.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외환위기 때와 또 다른 침체의 고빗길에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뎌야 할 청년은 일자리를 찾지 못해 방황하고 한창 일할 중·장년은 언제 직장을 잃을까 하는 노심초사로 사회 분위기를 어둡게 만들고 있다. 수출은 끝없는 부진의 늪에 빠졌고 마지노선으로 여겨온 3% 성장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 경제회복의 골든타임은 얼마 남지 않았는데 경기 활성화의 최소 조건인 4대 개혁은 어느 것 하나 쉬운 게 없는 처지다. 박인비 선수 개인에게도 위기 상황은 있었다. 하지만 그는 우승을 향한 집념과 끝내 흔들리지 않는 멘털로 4라운드 14번 홀에서 회심의 이글퍼팅으로 역전의 발판을 만들었다.

이번 대회를 통해 거둔 또 하나의 수확은 '한국에서 1등은 세계에서 1등'이라는 자부심이다. 이미 전인지 선수가 US오픈에서 보여줬고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한 고진영 선수가 다시 증명해냈다. 한국 여자골프는 지금 멈출 줄 모르는 도전정신을 온몸으로 일깨워준다. 한국 경제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마음가짐일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