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가맹점 업종 같아도 수수료는 제각각

전자제품-삼성카드, 홈쇼핑-롯데카드, 학원-현대카드 가장 비싸…“계열사 수수료율 낮을 것이라는 예상은 사실무근”

신용카드 가맹점들이 동일 업종이라도 적용되는 수수료는 카드사별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신용카드 가맹점의 전체 평균 수수료율은 2.09%다. 업종별로는 전자ㆍ통신제품 중간 수수료율에서 삼성카드가 3.15%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은 롯데카드 3.10%, 현대카드 2.70%, KB국민카드 2.60%, 하나SK카드 2.50%, 신한카드 2.39% 순이다. 놀이공원ㆍ전자제품에 연관이 있는 삼성카드는 레저시설과 전자ㆍ통신제품 판매, 쇼핑에 밀접한 롯데카드는 홈쇼핑과 인터넷 판매, 대형 은행을 낀 신한카드는 금융보험 수수료율이 가장 높았다. 계열사가 관련 사업을 해 가맹점 수수료율이 낮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랐다. 삼성카드는 전자ㆍ통신제품 판매(3.15%)와 건강식품(3.50%), 제과점(3.37%)의 수수료율이 업계 최고 수준이었다. 삼성카드는 레저시설 및 판매점과 노래방의 수수료율도 3.50%로 7개 대형 카드사 중 가장 높았다. 레저시설ㆍ판매점은 하나SK카드(1.50%)의 수수료율과 2% 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현대카드는 교육기관 수수료율이 3.30%로 삼성카드(1.5%)에 비해 1.8% 포인트나 높았다. 학원 수수료율도 3.30%로 최다였다. 현대카드는 숙박업과 서점, 안경점의 수수료율이 3.30%로 업계에서 가장 높았다. 국산 신차와 일반병원의 수수료율이 2.70%, 화장품과 농축수산물의 수수료율이 3.30%로 최고였다. KB국민카드는 중고차 수수료율이 3.20%로 가장 높았지만 신한카드(2.49%)는 최저였다. 롯데카드는 대중교통 수수료율이 2.70%로 제일 높았다. 홈쇼핑ㆍ인터넷 판매 수수료율도 3.10%로 최고 수준이었다. 신한카드는 이ㆍ미용실(3.30%)과 슈퍼마켓(2.99%), 유통업체(3.30%), 금융보험(3.19%)의 수수료율이 최고였다. 비씨카드는 백화점과 할인점 수수료율이 2.50%로 가장 높았다. 카드사 관계자는 “같은 업종인데 회사별로 수수료율이 차이가 나는 것은 회사별 매출액 비중이 달라 원가 구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대손율 등 여러 가지 요소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