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검색엔진 기업인 구글의 중국시장 철수 움직임을 둘러싼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이미 야후가 "사이버공격에 구글과 공동 대응하겠다"며 지지의사를 표명했으며 서구 기업들 상당수가 중국 당국의 통제 등 열악한 기업환경에 대한 불만을 호소하기 시작했다.
미국 언론들은 아예 검열논쟁을 둘러싼 중국과 구글의 대립 양상이 시장경제와 통제경제를 대표하는 양국 간의 외교 갈등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진단을 내놓을 정도로 싸움을 부추기는 양상이다.
14일 블룸버그통신은 "가장 인기 높은 구글이 중국에서 철수할 경우 야후나 이베이가 뒤따를 수 있다"며 "이 경우 인터넷 사용자가 3억3,000만명에 이르는 중국이 외국 사업체가 없는 국가로 남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뉴욕타임스(NYT)는 "검열 논쟁을 둘러싸고 세계 양대 강국인 미국과 중국 사이에 긴장이 높아지는 양상"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파문은 구글이 지난 12일 웹사이트를 통해 "지난해 12월 구글 및 약 20개 이상의 미 주요 기업에 단행된 사이버 공격의 배후에 중국이 있다"며 "사이트 검열이 중단되지 않을 경우 중국 사업 철수를 고려하겠다"고 밝히며 시작됐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정보가 좀더 필요하다"며 아직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홍콩 CLSA의 앨리노어 룽 통신부문 대표는 "자유시장경제에 익숙한 다국적 기업들은 중국 기업에 비해 많은 압박을 느낀다"며 "특히 최근 들어 서구기업들은 중국 기업에 비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고 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 중국은 지난해 12월에만 웹사이트 10만개를 폐쇄하고 인터넷 검열을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또한 지난해 말 웹사이트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영업 허가증을 발부하는 등 규제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재중 미국상공회의소와 유럽상공회의소는 잇달아 "중국 내 국수주의가 확산되고 있어 외국 회사의 기업환경이 더 불리해지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백악관은 중국 정부가 공식 답변을 내놓을 때까지 코멘트를 삼간다는 방침이지만 구글의 기본입장에 동의하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우려와 의문을 주는 사안"이라며 "중국 정부의 설명을 기다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이번 구글의 대응은 오는 19일 미 국무장관이 '인터넷 자유'에 관한 기본 입장을 정리해 발표할 방침인 가운데 나와 시선을 모으고 있다. 장관은 지난주 에릭 슈밋 구글 대표 등이 포함된 정보기술 업계 주요 경영진과 저녁을 함께 하며 업계 의견을 들었다.
하지만 구글의 대응 방식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상당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이 실제적으로 철수한다면 중국 검색시장의 약 60%를 장악한 중국기업 바이두의 영향력만 더 커질 것"이라며 "중국이 세계 최대 인터넷시장으로 부상하며 많은 수익을 거둬들이고 있는 만큼 기업들의 보이콧이 실제화될지는 미지수"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