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물가안정목표 변동폭 '±1%P'로 넓힌다

물가정책 탄력적 운용 위해

정부와 한국은행이 물가정책을 한층 탄력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통화정책의 기준인 물가목표의 변동폭을 키운다. 선진국에 비해 변동폭이 작아 인플레이션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한은 내부의 지적과 내년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16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2010~2012년 중기 물가안정목표 설정 협의과정에서 한은 측은 물가안정목표의 변동폭을 ±0.5%포인트에서 ±1%포인트로 제시했다. 물가안정목표의 변동폭이 커지면 3%를 기준으로 2.5~3.5%에서 물가를 안정시키던 통화당국은 2~4%에서 통화신용정책을 펼치게 된다. 한은은 이번 협의과정 초안에서 3년간 평균 소비자물가 목표치를 3±1%로 제시했다. 한은이 물가안정목표치 변동폭 확대를 추진하는 것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변동폭이 커지면서 물가관리의 융통성을 확대할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지난해 하반기 소비자물가지수는 배럴당 140달러(두바이 기준)까지 치솟은 국제유가와 1,500원에 이른 원ㆍ달러 환율의 영향으로 4~5%대의 고공행진을 벌였다. 올 들어 국제유가는 배럴당 40달러대까지 급락한 뒤 투기거래 때문에 70달러대로 다시 상승하는 등 여전히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회복 이후 원자재가 상승 등으로 물가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통화정책의 재량권을 확대하기 위해 변동폭을 1%포인트로 넓히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국제유가 등의 추세를 감안할 때 변동폭 확대의 필요성은 있지만 경기흐름을 좀 더 면밀히 볼 필요가 있다”며 “이르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까지 입장을 정리해 한은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