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남북총리회담 15년만에 개최

서울서 사흘간 열려

14일부터 사흘간 서울에서 남북총리회담이 열린다. 지난 1992년 제8차 남북고위급회담 이후 15년 만에 열리는 총리회담이다. 선언적 성격이 짙었던 2007 정상회담에서 한발 더 나아가 10개 항의 정상선언 내용을 구체화하고 결실을 이루기 위해 남과 북의 총리가 머리를 맞댄다. 한덕수 국무총리를 수석대표로 한 남측 대표단과 김영일 내각총리를 단장으로 한 북측 대표단은 회담 첫날인 14일 오후 회담장인 서울 광장동 워커힐호텔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협의를 시작한다. 북측 대표단은 이날 오전10시께 고려항공편으로 평양을 출발해 오전11시께 김포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남측에서는 한 총리를 비롯해 이재정 통일부 장관과 임영록 재정경제부, 오영호 산업자원부, 이춘희 건설교통부, 박양우 문화관광부 차관과 서훈 국정원 3차장 등 7명이 대표단으로 참석한다. 북측 대표단은 김 내각 총리와 권호웅 내각 책임참사, 백룡천 내각사무국 부장,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차선모 육해운성 참모장, 박정성 철도성 국장, 박정민 보건성 국장으로 구성됐다. 이번 회담은 첫날 오후 전체회의에 이어 한 총리 주재의 환영만찬이 열리고 둘째 날에는 오전 회의를 마친 뒤 오후에 참관이 있을 예정이다. 마지막 날에는 오전 종결회의 후 공동합의문을 발표한다. 10월 남북정상회담 이후 처음 열리는 고위급 회동인 이번 남북총리회담에서는 새로운 합의를 이끌어내기보다 남북정상 간에 이미 합의한 내용을 구체화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남과 북은 이번 총리회담을 위해 이미 세 차례의 예비접촉을 갖고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선협력단지 건설 ▦철도ㆍ도로 개보수 ▦개성공단 활성화 ▦자원개발ㆍ환경보호ㆍ농업ㆍ보건협력 등 5개 분야에 대해 논의하며 서로 간의 입장차를 상당 부분 좁힌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당초 대표단에 국방부 차관을 포함시키려 했지만 북측이 대표단에 군 인사를 넣지 않겠다고 통보함에 따라 국방부 차관 대신 문화부 차관을 참석하게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인사가 제외된 만큼 이번 총리회담은 군사 분야 논의는 개략적 수준에 그치고 주로 경제협력 분야의 구체적 합의를 이끌어낼 공산이 크다. 하지만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의제를 논의하려면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 군사적 문제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어 진통도 예상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