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주부인 김미영(41)씨는 "요즘 들어 장바구니 물가가 크게 흔들리고 있어 장보기가 부담스럽다"고 호소한다. 추석을 앞둔 최근 쇠고기와 수산물ㆍ채소ㆍ달걀 등 제수용품 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가공식품과 생활용품 가격도 지난해보다 크게 뛰고 있다.
추석이 가까워질수록 이들 품목의 가격인상 움직임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우려된다. 경기회복의 기운을 좀처럼 느끼지 못하고 있는 서민들은 벌써부터 추석 장보기가 걱정이다.
정부는 최근 추석 및 민생물가 안정대책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도 14일 "소주ㆍ우유ㆍLPG 등 생필품 관련 담합 등 불공정행위 조사결과를 신속히 처리하고 명절에 가격 인상 가능성이 큰 품목을 집중 감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정부 방침이 물가 안정에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정작 물가 안정에 필수적인 식품 및 생필품 업체들의 동참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사실 물가 안정은 정부의 대책과 엄포만으로는 목표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최근 정부의 압박 속에 밀가루 가격이 인하됐지만 라면ㆍ빵ㆍ과자 등 가공식품 가격은 요지부동인 상황이 대표적이다. 제분업체들은 이달부터 정부 눈치를 보며 밀가루 가격을 10% 안팎 인하했지만 가공식품 업계는 밀가루를 사용한 제품의 가격 인하를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
라면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밀가루 가격은 내렸지만 환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원자재 가격도 올라 값 인하 요인이 충분하지 않다"며 라면 값을 내릴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제분업체의 한 관계자는 "국제 원맥 시세가 내린데다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밀가루 가격을 인하했지만 가공식품 가격이 뒤따라 내리지 않는다면 가격 인하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실 그동안 국내 식품 및 생필품 업체들은 원재료 가격 인상을 이유로 제품 가격을 수시로 올렸지만 반대로 원재료 가격이 내렸다고 제품 가격을 인하한 전례는 없다. 음료업체들이 가격 담합으로 25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은 사례에서 보듯 업계의 가격 담합 관행도 물가 안정을 저해하는 주요인이다.
결국 서민들의 물가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감시와 함께 관련 업계의 동참이 필수적이다. 특히 식품 및 생필품 업계는 제품 가격을 원재료 가격에 연동시키는 합리적인 가격정책을 통해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