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들은 명절이 길어서 좋다고 하는데 저는 가슴이 답답합니다. 이번 명절은 별탈 없이 지낼 수 있을지…."
결혼 5년 차 주부 김모씨(38)는 명절 전후로 극심한 두통과 소화불량에 시달린다. 마음을 편히 먹으려고 하나 쉽지 않은 일이다. 이른바 주부 명절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는 것. 김씨는 힘든 가사노동보다 오랜만에 만난 친지들이 별 생각 없이 한마디씩 내뱉는 말에 더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
김종우 경희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명절증후군은 전통적인 관습과 현대적 사회생활이 공존하는 우리나라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라며 "핵가족으로 살던 주부들이 명절기간 동안 가부장적 가치관이 지배하는 대가족 체제를 경험하며 정신적ㆍ신체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신과 전문의들은 명절날 말조심만 해도 이런 명절증후군 스트레스를 크게 줄 일 수 있다고 당부한다.
홍순범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가족 간에는 생각 외로 비교 의식과 경쟁심이 발동하기 쉽고 온 가족이 모이는 명절은 서로에게 마음 상하기 쉬운 때"라며 "특히 오랜만에 만나기 때문에 서로의 처지와 마음을 잘 모르는 상태로 지레짐작해 말을 뱉기 쉬워 마음을 상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불필요한 과거 일을 들추고 잘잘못을 따지게 돼 싸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모처럼 만난 친척들과는 현재의 근황 정도만 가볍게 묻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대체 언제 결혼할거야' '아이는 언제 낳을 거야'는 식의 직설적인 표현이나 사생활을 지나치게 간섭하는 말은 하지 말고 최근에 화제가 되는 영화나 드라마 등의 가벼운 주제로 대화하는 것이 좋다.
김 교수는 "아내는 운전하는 남편에게, 남편은 음식 장만하는 아내에게 존중하는 마음을 표현해주고 서로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고맙다' '수고했다'라는 진심 어린 따뜻한 말 한마디가 명절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는 가장 큰 명약"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명절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가족들과 즐겁게 대화를 나누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는 자세가 요구된다"며 "웃음은 스트레스와 긴장을 이완시키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되므로 어려운 상황일수록 재미있는 이야기로 긴장을 해소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