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헷갈리는 경기전망

소비·투자·수출 등 지표 놓고
기재부 "뚜렷한 개선 조짐"
KDI는 "추세적 회복엔 한계"


'바닥인가, 일시적 반등인가.'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기분석이 갈렸다. 경기부양에 방점을 찍은 정부가 정책효과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담아 다소 긍정적으로 전망한 반면 KDI는 보다 신중했다. 데이터는 같은데 해석이 갈린 것이다.

기재부는 6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우리 경제가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도 "하반기 수출증가율이 5%대를 나타내 경제성장률은 3%대에 올라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반기에는 저성장세를 끊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그래서인지 정부의 경기판단도 낙관 쪽으로 기우는 모습이다. 실제로 6월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36만명 늘어 두달 만에 30만명대로 올라섰다. 6월 광공업생산 역시 전달보다 0.4% 증가했고 소매판매도 같은 기간 0.9% 늘었다. 6월 중 설비투자 또한 운송장비ㆍ기계류 투자 확대로 4.5% 상승했고 7월 중 수출은 휴대폰ㆍ선박 등의 호조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날 발표된 KDI 경제동향은 어둡다. KDI는 "아직 우리 경제는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여전히 부진하고 수출도 낮은 증가세를 기록해 경기회복이 여전히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차이는 소비와 투자에 대한 해석에서 갈린다. 기재부는 "물가안정 흐름 속에 고용증가세가 확대되고 광공업생산과 소비ㆍ투자 등 실물지표가 전월 대비 개선됐다"며 "2ㆍ4분기 전체로도 서비스업생산ㆍ소비ㆍ건설투자 등 지표가 1ㆍ4분기 대비 개선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KDI는 "소비심리지표 개선은 사실이지만 아직 소매판매 증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며 "6월 소매판매액지수가 전월 대비 0.9% 늘어났지만 전년 대비는 0.8%의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민간소비는 여전히 부진함을 시사했다"고 분석했다. KDI는 더 나아가 "성장률 1.1%는 정부 소비가 상당 부분 기여한 결과로 추세적 경기회복으로 이어지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