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신년기획 기술강국 코리아] 정부 R&D전략 과제는

1부. 미래 향한 담대한 도전 <1> 혁신이 답이다
예산 12년새 4배 늘었지만 질적 성장 더뎌
해외서도 탐낼 만한 혁신기술 개발 힘써야
성과 연동해 지원하고 부처 중복사업 해소를


최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는 국내 기업들의 기술 수준이 선진 최고기술 대비 68.3%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소나 연구개발 전담부서를 갖춘 조사 대상기업 1,000곳은 16개 주요 기술 분야에서 국내의 기술이 선진 최고기술을 따라잡는 데 5.3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매일같이 신기술이 쏟아져 나오는 시대에 5년은 너무 긴 시간이다.

이와 관련해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R&D) 전략 재정립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의 R&D 예산은 지난 2000년 4조2,000억원에서 올해 16조9,000억원으로 4배 가까이 늘었지만 이제는 점점 '양보다 질'이 화두가 되고 있다. 2011년 우리나라의 기술무역수지는 59억달러 적자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최하위였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비중이 OECD 국가 중 2위까지 올라가는 등 양적인 성장은 어느 정도 이뤄졌지만 '해외에서도 탐낼 만한 기술'은 많지 않다는 이야기다.

이와 관련해 앞으로의 과제로는 △보다 계획적인 R&D 지원과 부처 간 중복 해소 △핵심 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 △타당성 검증 강화와 성과 연동식 R&D 지원 등이 꼽힌다.

예를 들어 2010년 태양광 관련 R&D는 총 23개 사업단에서 겹친 '인기사업'이었다. 인공지능로봇은 17개 사업단에서 맡았다. 제약 분야의 R&D 사업은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미래창조과학부 등에 흩어져 있다. 자동차 산업도 마찬가지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산업통상자원부 모두의 눈치를 볼 때가 종종 생긴다"는 게 자동차업계 관계자의 이야기다.

또 진행 중인 지원사업의 성과가 미흡하지만 '온정주의식' 지원이 계속되는 사례, 더 심하게는 사업 성과를 평가할 전문인력 자체가 없어 어려움을 겪는 사례 등도 기술 강국 도약의 걸림돌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 풀을 구성하고 보다 엄격한 심사과정을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 밖에 이공계 인력 육성은 여전한 과제다. 2011년 기준 한국의 R&D 인력은 36만1,000여명으로 2000년 대비 161% 늘었지만 중국의 성장률(213%·2011년 기준 288만명)보다는 상당히 낮다. 전경련 관계자는 "R&D는 사람이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며 "수도권 근처에도 R&D센터를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본적인 역할 외에는 R&D 역시 기업들이 주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물러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 R&D 전략기획단에 몸담은 경험이 있는 조신 연세대 미래융합기술연구원장은 "정부는 수년 내로 상용화될 R&D 과제는 기업에, 홀로그래프나 5세대(5G) 이동통신 같은 원천기술은 대학이나 정부 출연 연구소에 잘 배분하는 역할을 맡으면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술의 발전 속도를 제도가 따라잡지 못해 걸림돌이 되는 경우도 있다. 기술은 충분히 갖춰졌음에도 불구하고 불법으로 규정된 '원격진료' 등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가 대표적인 사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