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그가 개발한 삼중화 제어기술은 기존 해외 제품과 차별될 뿐 아니라 우수한 성능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이와 함께 수입대체 효과가 앞으로 연간 1,000만 달러 이상에 달하며 수출가능성 또한 이에 버금갈 것이라는 점도 선정 이유로 작용했다.
발전소의 발전기는 어느 정도 성능과 신뢰성이 확보된 핵심제어 기기라 하더라도 설치·운용이 쉽지 않은데 이는 발전소가 뜻하지 않은 사고로 정지됐을 경우 보일러 재가동 비용만 수억대에 달하고 장기간 발전을 하지 못할 경우 대체 연료비용이 하루 수억원에 달하는 등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국내에서는 자동제어 연구분야에서 이론적인 가능성을 논하는 많은 논문이나 특허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발전소나 대규모 화학플랜트, 항공우주설비 등의 핵심 제어기기들이 전혀 국산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지 고장이 나도 설비 운용에 타격을 주지 않는 보조 운전장치, 보조기억장치, 운전편의시설 등만이 국산화 개발 또는 상업화 되고 있다.
이에 심사위원들은 金박사가 개발한 삼중화 여자제어시스템은 안정성뿐 아니라 상업성까지 동시에 확보했다는 점에서 국내 제어시스템 연구분야에 기여할 것이라는데 전혀 이의가 없었다.
◇심사위원 ▲朴勝德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위원장) ▲具本國 삼성전자 기술총괄고문 ▲權寧漢 한국전기연구소 소장 ▲金鎭銅 서울경제신문 논설위원 ▲金忠燮 한국화학연구소 소장 ▲南壽祐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朴永逸 과학기술부 기획조정심의관 ▲朴虎君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白雲出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孫章烈 한양대학교 교수 ▲余琮琪 LG화학기술연구원 원장 ▲李埈承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鄭明世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鄭在明 서울대학교 교수 ▲蔡載宇 인하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