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이용한 조직적 부정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경찰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은 특히 이번 부정행위가 해마다 수십만명에 달하는 수험생이 치러온 국가시험에서 자행된 만큼 철저한 수사를 통해 적발된 부정행위자 및 중간 브로커에 대해 엄중처벌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수능 부정행위의 경우, 막연한 소문이 아니라 구체적인 제보가 있어야수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험생이나 시민들의 제보가 없을 경우 경찰 수사는 큰 진전이 없을 수도 있다.
◆ 경찰 `수사 확대' = 경찰청 관계자는 21일 "광주에서 그간 인터넷 등에 떠돌던 수능 부정행위 제보가 사실로 밝혀짐에 따라 지방경찰청별로 유사 사례가 있는지를 수사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그는 "광주 사건에서 브로커의 조직적 개입이 드러나거나 다른 지역에서 유사사례가 확인될 경우 전국적인 수사 확대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찰은 이에 따라 지방경찰청별로 수능 부정행위와 관련된 첩보수집에 나섰으나,아직까지 다른 지역에선 유사 사례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한편 광주 S고 L군(19) 등 3명을 수사 중인 경찰은 이들을 상대로 조직적 범행여부를 캐고 있으나 진술 거부로 수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수능 부정행위' 더 드러날까 = 경찰은 이번에 검거된 3명을 상대로 조직적인 브로커가 범행에 개입했는지를 파악 중이다.
이번 수능부정이 역할 분담을 통해 조직적으로 이뤄진 데다 여러 학교 학생들이범행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인 `선수'와 수험장 밖 `대기조' 등으로 나뉘어 선수들이 답안을 대기조에 보내면 이들이 이를 정리, 다른 수험생들에게 재차 발신하는 방식을 썼다.
또 이들이 여관 등에 투숙하며 이같은 과정을 예행연습하고 `커닝'에 용이하도록 시중에 흔한 `폴더형' 단말기 대신 구식모델인 `플립형'을 준비하는 등 치밀한준비가 있었던 점도 브로커의 개입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브로커 개입이 확인될 경우 이번에 적발된 수험생 외에도 부정행위자가 더 있을수 있어 수사가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수능 부정'의 경우 기본적으로 `어떤 사람이 부정행위를 했다'라는 구체적 제보가 없을 경우 별다른 수사 방법이 없다는 데 경찰의 고민이 있다.
부정행위의 `물증'이라고 해야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았다는 휴대전화 통화내역정도인데 막연한 소문만으로는 특정인의 통화내역을 무차별적으로 조회할 수 없기때문이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각종 첩보를 수집 중이지만 무엇보다 구체적인 제보가 있어야 한다"며 "일단은 나름대로 수사를 하며 수험생이나 시민의 제보를 기다릴 뿐"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