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 개편·자구노력 나설듯/기아호 어떻게 처리될까

◎김회장­“경영혁신 기획단 설립 구조조정 박차”기아는 어디로 가나. 기아그룹 경영권의 향방과 경영정상화를 위한 계열사 매각해법, 채권단의 경영정상화 수순 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아경영권의 향방과 경영정상화방안은 국내 재계랭킹 8위(자산기준)의 초대형그룹의 운명과 관련된 것일 뿐만 아니라 초미의 관심사인 자동차 구조조정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기아사태와 관련된 첫째 관심은 경영권 향방문제. 여기에는 몇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할 수 있다. 우선 김선홍그룹회장 등 현경영진이 물러나는 경우다. 이는 채권은행단의 요구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김회장 본인도 어떤 형태로든 책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는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 경우 김회장을 대신해 그룹 내부의 후임전문경영인이 전면에 나서 경영정상화를 주도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돈줄」을 쥔 채권금융단이 내부경영진을 물갈이한 후 외부의 전문경영인을 영입, 기아살리기에 나설 가능성이 가장 유력하다는 게 정부와 재계의 시각이다. 경영권 향방은 부도방지협약의 적용을 받고 회생의 길을 걷고 있는 진로와 대농케이스가 참고가 될 수 있다. 진로와 대농의 채권단은 오너에게 경영권포기각서를 요구하는 대신 ▲어음회수 유예 ▲자금 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지원키로 했다. 기아는 이들 그룹과는 달리 비오너그룹으로 경영진의 지분문제 등이 별로 없는 점을 감안할 때 경영권 포기각서 대신 경영진의 퇴진을 전제로 자금지원 할 가능성이 높다. 또 제3자 인수방안도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될 수 있다. 이는 정부와 채권단이 현재의 기아재무능력 등을 고려할 때 회생이 불투명하다고 판단할 경우에 해당된다. 이 경우 자동차업계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주창해온 삼성과 「중공업경영」에 강한 의욕을 보여온 LG 등이 새 주인이 되겠다고 나설 수 있다. 삼성은 이미 자동차사업의 조기정상화와 기술확보를 위해 기아 인수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대우·현대그룹도 삼성을 견제하는 차원에서 기아지원을 위한 「백기사」로 나서거나 아시아자동차 등을 대상으로 매수합병(M&A)에 의욕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3자인수도 원리금상환유예 등 금융기관의 특혜시비가 불거질 가능성이 있어 쉽지만은 않다는 게 재계의 판단이다. 계열사 매각수순도 기아호의 향방에 큰 변수다. 여기에는 ▲정부와 채권단이 기아를 자동차전문그룹으로 재편하고 ▲이를위해 금융·건설·무역 등 비자동차사업을 매각하는 방안이 제기될 수 있다. 기아는 이번 사태로 대농·진로의 경우처럼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 등 2대 주력업체만 제외하고 나머지를 매각하는 등 구조조정과 자구노력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정부나 채권기관들은 부도방지협약의 적용을 받는 부실그룹들의 자구노력과 경영정상화를 위해 주력사를 제외한 다른 계열사들을 매각하도록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룹은 이와관련, 주력인 기아자동차만 남기고 다른 계열사 매각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이루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반기에 세피아 후속모델(S­2)이 나올 경우 신차효과에 따른 판매급증으로 자금난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는 게 그룹측의 전망이다. 해외사업의 향방도 관심거리다. 기아는 현재 대만·필리핀·인도네시아·터키 등에 모두 연산 45만대 규모의 생산법인을 가동중이어서 「기아해법」이 어떻게 결말 나느냐에 따라 이들 사업의 경영문제는 물론 국가적 신용도 문제로까지 비화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김선홍 기아그룹회장은 이날 하오6시부터 3시간30분 동안 본사에서 긴급 사장단회의를 갖고 이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자고 강조했다. 김회장은 자구노력과 관련, 『그룹 차원에서 경영혁신기획단(가칭)을 설립, 구조조정작업을 강도높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이의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