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기조가 흔들리고 있다. 연초까지만 해도 저금리 장기화를 우려했는데 어느덧 금리인상 흐름이 재테크 시장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재테크 시장의 최대 변수인 금리가 급변하면서 금융 소비자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시장환경이 변하면 전략도 바뀌어야 한다. 시장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재테크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로 고수해야 하는 것도 있다. 바로 '원칙'이다. 이번 달에는 연령대별 재테크 원칙을 알아봤다.
누구에게나 각 시기마다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인생의 가치가 있다. 연령대별 재테크 전략은 바로 이 가치와 맞닿아 있다.
◇20~30대라면 결혼자금 마련에 집중=여러분들은 20~30대 초반 때 어떤 가치에 우선순위를 두었나. 아마도 '사랑'이 아니었나. 사랑은 곧 '결혼'이란 연결어로 이어진다. 이런 이유로 많은 재테크 전문가들은 20대라면 결혼자금 준비에 집중하라고 조언한다.
미혼은 기혼에 비해 지출이 많지 않다. 촘촘한 계획을 짜서 실행에 옮기면 충분히 결혼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소득의 절반에서 70%까지 투자하라고 조언한다.
결혼시기를 몇 년 내로 계획한다면 일단 은행 정기적금을 통해 목돈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 일정수준의 목돈을 모았다면 그 종자돈은 다시 예금이나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머니마켓펀드(MMF) 등과 같은 안전자산을 활용하는 게 좋다.
물론 장기주택마련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장마펀드는 7년 이상 납입하면 이자소득세 및 주민세가 전액 비과세되며 연말에 최대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위험보장도 마련해놔야 한다. 통상적으로 보험과 같은 위험대비 상품은 나이가 어릴 때 가입할수록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덜하기 때문이다. 본인 수입의 5% 정도는 보장성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상품 중에선 실손의료비, 본인사망 및 후유장애, 치명적 질병 등 모든 보장이 동시에 가능한 통합형보험이 적합하다.
◇30대는 재산형성기, 40대는 재산증식기=30대 중반~40대에겐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 재테크 전문가들은 30대를 재산형성기, 40대를 재산증식기라고 부른다. 부를 늘려야 한다는 소리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때는 인생을 통틀어 지출이 가장 많은 시기다. 재산을 늘려 집도 사야 하고, 그와 동시에 자녀교육 비용도 충분히 비축해놔야 한다. 그만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재테크 전략이 필요하다.
집을 사려면 종자돈을 모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적립식펀드를 추천한다. 주식시장에 투자하지만 매월 납입하기 때문에 위험이 분산돼 있고 장기간 유지하면 수익을 실현할 기회가 한번쯤은 찾아온다. 특히 적립규모를 너무 크게 해서 단기간에 준비하는 것보다는 투자규모를 적절하게 맞춰 장기간 준비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보험포트폴리오도 다시 한번 체크해야 한다. 특히 가계의 생계를 전담하는 가장의 경우 사망이나 고도 후유장애에 대비한 보험가입은 필수다. 여유가 된다면 종신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방법이다. 비싼 보험료가 문제라면 시기별로 보험가입금액을 분산해 지출부담을 낮출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은퇴준비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이다. 연금상품은 특성 상 일찍 가입한 자에게 더욱 유리하다. 장기거치 기간 동안 복리단위로 이자를 지급해 연금 수령액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세제적격 상품인 연금저축에 가입하면 납입액 전액에 대해 연간 400만원 소득공제도 받을 수 있다.
◇50대 이후는 노후안정 대비해야=50대 이후에겐 정년퇴직 이후 삶에 대한 대비책이 절실하다. 오죽하면 '노후연금이 열 아들, 딸보다 낫다'란 말이 나올까. 이 시기에는 자산의 많고 적음을 떠나 보유자산 외에 매월 일정한 소득이 발생하도록 해야 한다.
기대수명이 늘어난 만큼 100세까지 보장해주는 상품을 고려할 만하다. 과거에는 80세 만기상품이 거의 전부였지만 최근엔 100세 만기상품도 다수 출시돼 있다.
자녀가 출가했다면 생활비가 많이 감소해 다시 한번 저축에 나서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지켜야 할 점은 무리수를 둬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다. 자녀교육과 결혼 등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일들을 끝마친 만큼 재테크의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신용등급이 높은 채권이나 예금, 적금 위주로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 보유자산에 대한 재평가 작업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면 일정 부분 처분해 가용현금을 늘리는 게 좋다. 언제 어디에서 돈이 필요한 일이 발생할 지 모르기 때문이다.
뻔한 말로 들리겠지만 원칙은 지켰을 때, 혹은 지키고 있을 때 빛을 발한다. 재테크 고수로 불리는 사람들도 시장환경 변화, 이를테면 세법 개정안이라든지, 금리급변 또는 글로벌 자본시장 동향 등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한발 빠른 전략으로 성공을 거둔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자기만의 원칙은 반드시 지킨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