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들이 재정 확충과 학생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학교기업을 잇따라 설립하고 있지만 그 성과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경제 자료사진 |
|
SetSectionName();
학교기업 재정·일자리 확충효과 미미
지난해 정부지원 66곳매출 줄어 들어39개 '대학기업' 중 3억원 이상 11곳 불과신규 채용 인력도 전체 511명에 그쳐
성행경 기자 saint@sed.co.kr
대학들이 재정 확충과 학생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학교기업을 잇따라 설립하고 있지만 그 성과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경제 자료사진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대학들이 재정 확충과 학생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학교기업을 잇따라 설립하고 있지만 실제 성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 재정지원을 받은 66개 학교기업의 매출을 집계한 결과 총 149억1,500만원으로 나타났다.
한 곳 당 평균 2억2,500만원으로 지난 2007년의 3억3,600만원에 비해 오히려 줄었다. 39개 대학 학교기업 중 3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곳은 11개에 불과했고 27개 전문계고 학교기업 가운데 1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곳은 고작 6개였다.
이 정도 수준의 매출로는 수익을 기대하기 힘들 뿐더러 학교 재정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학교기업 중 지난해 가장 많은 18억원의 매출을 올린 경희대 한방재료가공 학교기업은 적자를 봤다.
이 회사 이민호 운영이사는 "2006년에는 6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려 학생들의 장학금으로 2억원을 지급했다"면서 "경영 환경이 악화되면서 매출이 해마다 줄고 있고 제도적 한계 때문에 사업 확장도 여의치 못하다"고 말했다.
학교기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에 못 미친다. 지난해 학교기업에 신규 채용된 인력은 511명으로 한 곳 당 7.7명 정도다.
학교기업들이 매출 증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는 운영 목표가 현장 적응이 우수한 인력양성과 기술개발ㆍ이전, 일자리 창출 등 교육적 효과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수익 창출을 위한 경영에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한 학교기업 관계자는 "설립 초기에는 정부 예산 지원을 받으려고 학생 현장실습 실적이나 산업재산권 확보 등 교육적 기능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며 "자리를 잡은 뒤에는 생존을 위해 매출을 늘리려고 하지만 판로 개척이나 마케팅 등에서 전문성이 부족하다 보니 매출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학교기업이 상법상 기업이 아니라 대학 부속기관이어서 각종 인허가나 정부 입찰 등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도 매출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학교기업은 별도의 사업자 등록 없이 학교 법인의 사업자 등록증에 업종만 추가해 운영되고 있다.
이 이사는 "한방 화장품을 신규 아이템으로 정하고 생산설비까지 갖췄는데 허가를 받지 못해 시설을 놀리고 있다"며 "학교기업이 기업답게 운영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학교기업의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법ㆍ제도적 개선과 함께 4년제 대학에 비해 매출이 떨어지는 전문대와 전문계고에 대한 컨설팅을 강화하고 매출지향형과 교육지향형으로 학교기업을 구분, 사업목적에 맞는 재정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교과부는 2004년 100억원을 비롯해 지난해까지 학교기업 지원을 위해 68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올해도 68개 기업에 15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