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14일 창립 50주년을 맞았다. 중소기업의 권익 보호와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해 탄생한 중기중앙회는 대정부 정책 건의와 기술ㆍ경영 지원활동을 통해 300만 중소기업인들의 든든한 파트너 역할을 수행해왔다. 특히 모래알처럼 흩어지기 쉬운 중소기업들을 하나로 묶어 큰 합의를 이끌어내고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을 키워낸 것만 해도 중기중앙회의 공이 컸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흔히 '9988'이라는 말처럼 중소기업은 전체 산업의 99%와 고용인원의 88%를 담당하고 있다. 경제의 뿌리인 중소기업이 살아나야 진정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서고 일자리 창출이라는 이 시대의 당면과제도 풀어낼 수 있다.
최근 동반성장과 공생발전이 강조되며 중기중앙회에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이나 납품단가 조정, 하도급거래 개선 등의 법적 토대가 마련된 것도 중기중앙회의 역할이 크기는 했지만 그만큼 중소기업에 거는 국민의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는 중기중앙회가 주도적으로 나서 중소기업들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새로운 성장모델을 만들어내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직도 상당수 기업인들이 중기중앙회를 찾아 무작정 정부 지원을 요구하거나 정책자금을 받도록 도와달라고 떼를 쓴다는 얘기가 들려온다. 중소기업이라고 해서 무조건 지원해야 한다는 인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시혜대상이 아니라 확실한 동반자로서 자리잡도록 자생력을 키우는 일이 시급하다. 매출액의 1.3%에 머무르고 있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리고 글로벌 수출전사를 배출하는 것도 중기중앙회에 맡겨진 임무다.
중기중앙회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조직을 쇄신하고 역할을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 유명무실해진 위원회를 과감히 정리하고 정부로부터의 재정자립을 하루빨리 이뤄내야 한다. 중소기업들의 해외진출을 뒷받침하고 공동사업을 활성화하는 체계적인 지원시스템도 마련할 때다. 중기중앙회가 단순한 중소업계의 대변자에 안주하지 않고 국가발전에 기여함으로써 100주년을 준비하는 당당한 면모를 갖추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