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회수보다 실물경기 회복 우선"

진동수 금융위원장 "금융위기 안끝나…인플레 대비는 해야"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경제상황이 최악은 지났지만 아직 위기가 끝나지 않은 만큼 유동성을 회수하는 것보다는 실물경제 회복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또 은행들이 중소기업 보증공급을 지나치게 확대하는 것을 탄력적으로 제한하는 위험관리 강화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 위원장은 19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이코노믹 포럼’에 참석해 “전세계를 공황상태로 몰아넣었던 금융위기가 진정국면에 들어갔지만 잠재적 불안요인은 여전히 남아 있다”며 “현재의 위기관리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중장기적인 과제를 차분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진 장관은 “위기 이후 생길 수 있는 인플레이션 위험 등에 대해 고민하고 대비해야 한다”며 “그러나 정책의 우선순위나 중점을 따질 때 ‘그쪽(출구전략)으로 확 바꾸는 것이 필요한가’라고 질문한다면 ‘노’라고 답하는 쪽으로 갈 것 같다”고 말했다. 섣부른 낙관론이 시장을 지배할 경우 적절한 정책대응에 실패해 조기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위기 극복을 위해 재정을 확장하는 정책 등으로 생기는 문제는 개별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때문에 미국을 비롯해 주요 선진국가들의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또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계속하겠지만 최근 여건 변화를 고려해 중기 지원목표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보증공급 확대에 따른 위험관리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으로 어려운 중소기업 등 기업 부문의 자금사정은 상당 부분 개선됐지만 중기 대출의 지나친 확대로 향후 경제 전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진 위원장은 또 “대내외에 잠재된 시장 불안요인을 사전에 점검하고 차단해 금융시장 안정을 도모하고 최근 제기되는 시중자금의 단기화 문제에 대해서도 그 추세와 흐름을 자세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