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 사업성만 따져 2,500억 지원"

홍석우 중소기업청장

홍석우

정부가 중소ㆍ벤처기업의 혁신적 기술을 살리기 위해 내년부터 일부 정책자금은 재무제표를 보지 않고 미래 사업성만 따져 지원한다. 홍석우(사진) 중소기업청장은 24일 서울경제TV와의 인터뷰에서 "내년 정책자금 가운데 2,500억원은 기업 재무상태를 들여다보지 않고 오직 사업성만 평가해 지원할 것"이라며 "내년부터 시범 실시해 결과가 좋으면 (자금규모를)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홍 청장은 "'한국적인 풍토에서 과연 빌 게이츠가 정책자금을 신청했다면 제대로 받을 수 있었을까'하는 고민에서 발굴한 제도"라며 "이는 혁신적 기술력을 갖췄지만 재무상태가 취약한 기업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기청은 효율적인 심사를 위해 중소기업진흥공단에 별도의 평가위원회를 만들어 부실대출에 따른 면책권까지 과감히 부여하기로 했다. 홍 청장은 내년도 정책자금 지원기준 개편작업과 관련해 "미래 사업성만 보고 먼저 지원기업을 선정한 후 가결정된 기업의 재무상태를 확인해 극단적으로 나쁘지 않으면 지원 대상으로 확정하는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중소기업정책자금 예산안(3조1,355억원) 가운데 2조8,855억원은 사업성을 우선 평가한 후 재무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지원되며 나머지 2,500억원은 전적으로 사업성 여부로만 대상 업체를 판단하게 된다. 홍 청장은 내년도 중소기업지원자금이 올해(5조8,000억원)보다 대폭 줄어든 데 대해 "너무 급격히 줄었다"면서 "국회의 협조를 얻어 정책자금이 상당 수준 늘어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