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2만달러 국가로 도약하려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한다. 차세대 성장산업 국제회의는 정부가 선정한 60개 품목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는 한편 이런 성장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부는 올 3월부터
▲국내산업의 경쟁력 수준
▲미래 기술변화 전망
▲세계 시장 전망
▲부가가치 창출 잠재력
▲사업화 성공가능성
▲고용창출효과 등 6가지 기준에 따라 60개품목을 우리 경제를 이끌어 갈 미래성장주도제품으로 선정했다.
이들 품목은
▲주력기간산업
▲미래유망산업
▲지식기반서비스산업 등으로 대별된다. 정부는 일단 우리 경제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주력기간산업에 신기술을 접목시켜 고도화하는 작업을 통해 차세대 성장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같은 품목으로는 지능형 연료전지 자동차, 지능형 로봇, 디지털TV,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30개에 다란다.
이와 함께 미래유망산업도 중요한 차세대 성장 동력이다. 미래유망산업으로는 차량무선인터넷 서비스인 텔레매틱스, 바이오신약, 바이오칩, 연료전지, 스마트 홈 등 26개 품목이 선정됐다. 정부는 이런 품목이 우리가 현재 보유한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적인 잠재수요가 크다고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은 주력기간산업 및 미래유망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동시에 그 자체로서 고용창출 효과가 큰 분야다. 여기에는 유통 및 물류, e 비즈니스, 디자인 등이 속한다.
오영호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국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세계적인 석학들은 우리가 선정한 차세대 성장산업에 대한 육성전략 등 다양한 조언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국장은 “차세대 성장산업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인프라구축, 인력양성, 국제협력 방안 등에 대한 자문을 얻기 위해 이번 회의를 개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석학들은 실제로 경제 및 산업 전망, 성장동력 육성 전략 등에 대해 조언하고있는데. 유지 후루카와 일본 동경대 교수는 “제조업 관련교육은 시장에서 요구하는 교과과정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면서 “경영대학원 프로그램도 기술경영(MOTㆍManagement of Technology)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한스-귄터 가센 독일 다름슈타트 공대 교수는 “한국이 전통적 강점분야를 활용해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가센 교수는 “성장산업을 육성하려면 먼저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분야를 파악한 후 여기에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대신 국제적인 경쟁력이 떨어지는 분야에 대해서는 과감한 아웃소싱전략을 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루드비히 발쯔 독일 보쉬 가솔린시스템 사장은 “앞으로 자동차분야에서는 원격조정 및 통신 시스템이 비약적인 성장을 보일 것”이라며 이런 텔레매틱스 분야를 육성할 것을 권고했다.
<정문재기자 timothy@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