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코리아] 시장개척 인프라 적극 확충나서야

정보·인적네트워크 없어 업체간 중복투자등 '낭비'"신규 해외시장 진출은 자제하고 있습니다. 아무런 사업기반도 없는 지역에서 맨땅에 머리를 부딪는 것보다 기존 시장에서 입지를 굳히는 게 유리하기 때문이죠" 국내 한 대형건설업체의 해외건설영업부장이 건네는 이야기다. 공사수주에 필요한 정보와 인적네트워크, 금융ㆍ세제지원 등이 따르지 않아 시장개척 자체를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그 동안 정부는 해외건설시장 진출 시 보증문제를 해결해주는 수준의 지원에만 정신을 쏟았고 그 밖의 인프라 구축에는 소홀했던 게 사실. 그만큼 개별업체가 부담해야 하는 시장개척비용도 늘고 있어 정부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 인프라 부족으로 업체간 중복투자 발생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국내업체들이 부담해온 시장개척비용은 공사수주금액의 0.2~0.3%선. 여기엔 시장조사를 위한 출장비와 현지의 법률ㆍ세무ㆍ회계ㆍ금융ㆍ기술자문료, 발주처ㆍ기술협력업체 섭외비, 현지자격취득 및 기타 등록비 등이 포함돼 있다. 실재로 국내의 한 건설업체는 5억 달러짜리 정유공장건설공사를 따내기 위해 5년 여 간 총 15억원의 시장개척비용을 들이기도 했다. 인프라가 없는 상태에서 이 지역에 다른 국내업체가 진출하려면 또 비슷한 액수의 돈을 또 들여야 할 것이다. 결국 인프라 부족이 기업의 중복투자는 유발시키고 국가 부의 낭비를 초래하는 셈이다. ▶ 시장개척비용 줄여주자 시장개척비용을 줄이기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정보인프라와 인적네트워크 구축. 정기적으로 민관합동 시장개척단을 정기적으로 파견해 정보를 수집하고, 현지 정부와 업계관계자를 초청해 인적 교류를 쌓아가는 것이다. 또 해외주재공관을 통해 계속 신규 정보를 모아 업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차원에서 고급발주정보지 구독해 일반에 열람 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이런 정보지는 연간 구독료가 수만~수십만 달러에 이르러 어지간한 업체들은 구독할 엄두도 못 내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연간 30~50억원의 재원만 정부예산으로 지원돼도 초기 인프라 구축이 가능할 것을 내다보고 있다. 금융 및 세제인프라 구축도 이뤄져야 한다. 공신력 있는 수출입은행이 직접 해외금융기관과 국내건설업체의 연결을 도와 좀더 좋은 조건으로 돈을 빌릴 수 있도록 해주고, 현행 경협기금과 수출금융 중 일부를 혼합해 건설프로젝트사업 전용 펀드를 만드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 현지 정부의 이중과세로 인한 건설업체들의 비용증가를 막기 위해 관련 국가와 이중과세방지협정을 맺는 것이 중요하다. 민병권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