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영의 남성학] 성은 효과적인 양생법

원만한 부부생활이 건강유지 비결

‘신랑은 진홍빛 새(朱雀)를 꺼내고, 신부의 붉은 바지 끈을 푼다. 맨발을 들고 옥 같은 엉덩이를 어루만지고, 신부가 신랑의 주작을 쥐니 황홀경에 빠진다. … 신부는 기꺼이 경작해야 할 문을 신랑에게 맡긴다. 앞으로 주작이 돌입하여 쪼개는 듯하니, 비로소 동정이 열려 흥건하다. 그 순간부터 부부가 되는 것이며, 소위 음양의 합일이 중단 없이 계속될 것이다.’ 당나라 시인 백행간이 쓴 ‘천지음양교환대락부’에 나오는 내용으로 신혼부부가 첫날밤 행할 정경을 생생하게 묘사한 것이다. 이 글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남근을 새로 표현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남근의 어원을 새(雀)에서 찾는데 이는 중국 최초의 통일 국가인 진나라의 시조 비자(非子)가 알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해서 새를 인류의 조상이며 생명의 근원이라고 생각하는데 웅크리고 있는 새의 주둥이와 머리는 음경을 몸체는 고환과 비슷한 형상이기도 하다. 그래서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산수화에는 유난히 새가 많이 그려져 있으니 이는 새의 까딱까딱하는 고개 짓을 통해 성행위를 암시한다. 또 한 곳에 오래 머물며 진득하게 고개 짓을 하지 못하는 새의 특성을 통해 남성의 외도 기질과 숙명적인 조루증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여성의 음문은 꽃(花)이나 연못(池)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씨앗을 퍼트리는 번식력과 물고기를 키우는 물의 생명력을 의미한다. 꽃은 오랜 시간과 과정을 통해 피어나고 연못은 강한 바람이 불어야 출렁거리니 천천히 반응하는 신체적 특성을 이른다. 한편, 중국에서는 성행위를 친(親)이라고 표현하기에 성행위시 남녀 간에 충분히 교감하여, 함께 즐거움을 만끽하라고 가르쳤다. 충분한 전희를 통해 여성의 음문이 스스로 열릴 때 하나가 되고, 하나가 되었으면 중단 없이 지속하라고 했던 것이다. 성행위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현대 의학의 관점으로 보아도 전혀 그릇됨이 없는데, 연구에 의해 성행위가 두통과 불안을 해소 시켜 준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칼로리 소모로 인한 비만 예방, 피부윤택 등에도 긴요한 작용을 하고 있음도 밝혀졌다. 따라서 원만한 부부생활은 건강은 물론이고 정신적 안정을 가져다주는 양생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인의 성생활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으니 운동부족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발기부전과 조루 왜소콤플렉스와 같은 성기능 장애가 원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