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경영진 스톡옵션 부작용 크다"

은행과 증권사 등 금융회사의 경영자에게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하는 것은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더 크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의 석승훈 교수는 1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KAIST 금융공학센터 주최로 열린 '스톡옵션, 약인가 독인가'라는 주제의 조찬강연회에서 "금융회사에 재무적 안정성은 생명"이라면서 "스톡옵션을 받은 금융사경영자는 위험추구형(Risk-taking) 전략을 선호하게 되고 이는 회사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고 말했다. 석 교수는 "스톡옵션은 주주와 경영자의 이해관계를 일치시켜 효율적 성과 달성에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면서도 "주주의 몫으로 돌아가야 할 이윤이 경영자에게이전돼 '주주 이익 극대화'라는 시장 논리에 어긋날 수 있는 역기능을 내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경영자에게 스톡옵션을 주는 것은 금융사의 채권자와 이해관계자 간마찰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석 교수는 "경영진에게 스톡옵션을 주기 보다는 기업의 안정성 제고와 자본.지배구조 등을 고려, 장기 경영성과가 제대로 반영되고 각 관련주체의 이해 상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의 인센티브 지급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업종 특성을 고려할 때 금융사 경영진에게는 기업가치에 부합하고 회사의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유형의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면서 "경영자 개인 성과에따라 현금이나 주식의 형태로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석 교수는 "총자산이익률(ROA)이나 자기자본 수익률(ROE)과 같은 단기 수익지표를 스톡옵션이 아닌 현금 보너스에 반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준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