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응환 사장 |
|
| 남승우 부행장 |
|
| 박승훈 부사장 |
|
| 김희석 부사장 |
|
| 한동주 대표. /=연합뉴스 |
|
농협금융은 폐쇄적인 조직으로 불려왔다. 성골(농협 출신)과 진골(외부 출신)의 경계가 어느 금융회사들보다 뚜렷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외부에서 고위직이 영입된다 해도 신분이 보장된 농협 출신들을 지휘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외부 출신으로 농협중앙회와 갈등을 빚던 한 전임 회장은 "제갈공명이 와도 안 바뀔 것"이라는 비판과 함께 중도에 사퇴하기도 했다. 농협금융이 시대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했던 것은 이 같은 폐쇄적 조직문화 탓도 크다.
이런 농협금융을 바꿔 놓은 것이 임종룡 전 농협금융지주 회장(현 금융위원장 내정자)이다. 그는 농협중앙회장의 전폭적 신뢰를 발판 삼아 농협 계열사 곳곳에 외인부대를 배치해 농협금융의 변화를 이끌었다. 임 전 회장은 취임 1주년 당시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금융계의 다양한 전문성을 농협 안으로 끌어들이고 그들에게 배워나가면서 진정한 시너지 효과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런 임 전 회장이 갑작스럽게 떠나면서 외부 수혈을 통한 농협금융의 체질 바꾸기가 지속될 수 있을지 농협 안팎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외부 인력들이 대부분 임 전 회장이 영입한 인사들인 만큼 회장이 사라진 상황에서 앞으로도 일관되게 농협금융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농협금융의 한 고위관계자는 "후임 회장의 경영철학이 중요하지만 임 전 회장이 이뤄놓은 성과가 너무 쉽게 무너질까 우려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임 전 회장의 취임 이후 농협금융에서는 파격적인 외부 영입이 줄을 이었다. 지난해 초 카드 사태 이후 영입된 신응환 농협카드 사장과 남승우 농협은행 정보보안본부장이 대표적이다. 신 사장은 삼성그룹 비서실과 구조조정본부를 거쳐 삼성카드에서 부사장까지 지낸 삼성맨이며 남 본부장은 신한카드의 IT본부장 출신이다. '독종'으로 불리는 신 사장은 정보 유출 카드 3사 가운데 유일하게 시장점유율과 결제액을 늘려 점유율 두자릿수 카드사로 도약하게 하는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여기에 올해 초에는 동부화재와 한화손보를 거친 박승훈 부사장이 농협손보 부사장에 임명됐고 한화생명 출신의 김희석 농협생명 부사장은 지주 최고투자책임자(CIO)로도 임명됐다. 임 전 회장은 김 CIO에게 농협금융 계열사 전반의 자산운용 권한까지 부여했다. 지난달 선임된 한동주 NH-CA 자산운용 대표는 임 전 회장이 영입한 마지막 외부인사다. 이 자리는 줄곧 농협 출신이 맡았지만 한 대표는 대우증권과 동부투자신탁운용·국민연금 등을 두루 거친 정통 증권맨이다. 임 전 회장이 청탁이나 낙하산 인사가 아니라 철저한 전문성을 위주로 사람을 영입했기에 조직 내 잡음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주 회장이라는 큰 우산이 사라진 만큼 외부 인사들이 농협의 조직문화를 뚫고 제 색깔을 내기가 예전보다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후임 회장이 중앙회와 노조 사이에서 임 전 회장처럼 주도권을 쥐지 못할 경우 내외부 출신 간의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
금융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농협이 지주 출범 4년 차로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이라 당장에 외부인사들을 흔들 일은 없을 것 같다"면서도 "후임 회장이 중앙회의 신뢰를 얻지 못할 경우 제 색깔을 내면서 경영을 하기 힘들고 임 전 회장이 영입한 외부 인사들도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금융계가 차기 농협금융지주 회장 인선을 주목하는 것도 이 같은 농협의 특수성 때문이다. 웬만한 중량급 인사가 오지 않고서는 농협금융에서 경영의 주도권을 쥐기 힘들다. 농협금융 고위관계자는 "농협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소통 능력이 있는 분이 오기를 기대하지만 공직자윤리법 등에 발목 잡혀 인물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지주 회장이 자주 바뀌는 리스크 속에서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조직 내부의 전문 인력을 빠르게 키워내야 한다는 내부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다른 시중은행들도 과거 외부 전문가를 영입해 전문성을 빌린 후 안정적인 체제를 구축한 뒤에는 점차 자체 직원으로 이를 대체해가는 전략을 폈다. 임 전 회장 역시 지난 퇴임식에서 "부족한 경쟁력을 채우기 위해 외부의 인재를 영입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미래를 내다보고 사람을 길러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