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박물관 ‘한국의 큰스님 글씨-월정사의 한암과 탄허”


국립중앙박물관은 탄허(1913~1983) 탄신 100주년 및 석가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16일부터 6월16일까지 상설전시관 서화관에서 ‘한국의 큰스님 글씨-월정사의 한암과 탄허’ 기획전을 연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는 평창 월정사, 대전 자광사, 양산 통도사, 안양 한마음선원, 서울 탄허기념박물관, 탄허불교문화재단에서 대여한 서예작품 및 탁본, 현판 등 80여점이 전시된다.

특히 오대산 월정사의 두 큰스님인 한암(1876~1951ㆍ사진)과 탄허(1913~1983)의 글씨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스님의 글씨는 한국 서예 전통에서 선필(禪筆)의 범주로, 품격과 개성의 표현 방식으로 깨달음을 표출하는 글씨이지만 넓게는 스님의 글씨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근현대 변혁의 시대를 살다간 두 스님은 전통적인 유학과 고전을 수학하며 성장했으며, 그들의 글씨는 넓은 의미에서의 선필과 전통성을 기반으로 한다.

이번 전시품에는 이들의 불교의 경전과 깨달음, 고전의 경구, 삶의 자세 등의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다. 유연하게 쓴 한문 글씨뿐만 아니라 잔잔한 한글 글씨가 갖는 소박한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며, 특히 편지글에서는 글씨를 통해 전해지는 따뜻한 마음을 살펴볼 수 있다.

한암(1876~1951)은 한국 불교의 선풍(禪風)을 지키고 법맥을 계승하여 근대 한국 불교를 중흥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한암은 유학자 집안에서 태어나 학문을 닦던 중 불교에 귀의했다. 당대의 유학과 불교학의 권위자였던 한암은 그 학문과 인품을 존경하여 가르침을 받고자 했던 승려뿐만 아니라 수많은 지식인들이 찾고 따랐으며, 그의 수제자 중 한 명이 탄허이다.

수제자인 탄허는 근현대 우리나라의 불교계를 이끈 최고의 학승이며, 20세기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승이자 유불도(儒佛道) 삼교(三敎)에 모두 능통한 대석학이었다. 독립운동가 김홍규金洪奎의 아들로 태어난 탄허는 기호학파 학통을 이은 스승 이극종 (최익현의 제자)을 통해 한학 연구를 계속하여 10대 후반에 이미 상당한 수준의 학문적 경지에 달했다. 그는 해결되지 않는 도의 근원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당시 최고의 한암과 3년간의 학문에 대한 서신 문답 끝에 22세 때 한암의 제자가 되었다. 탄허는 스승 한암의 법통을 계승했고, 이를 불교학 연구와 불교의 중흥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